본문 바로가기
2009.08.01 04:31

서울의 어원

조회 수 386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울의 어원

1) 서울의 명칭
우리말로 한나라의 도읍지를 뜻하는 '서울'이란 이름은 어떻게 생겼을까?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시조 박혁거세가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서라벌이라 이름지었으며, 또 이를 서벌이라고도 했다 한다. 당시의 신라는 나라 이름과 수도의 명칭을 같은 말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신라의 서울인 서라벌 또는 서벌이나 나라 이름인 신라, 시림 등으로 부르는'ㅅ.ㅣㅂ.ㄹ''로 '이 모두 지금 우리말의 수도를 뜻하는 서울의 어원으로 보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백제의 수도인 소부리와 고려의 수도인 개성(송악), 후고구려의 수도인 철원 등도 다소 차이가 있지만 우리말의 수도를 뜻하는 서울의 어원인 'ㅅ.ㅣㅂ.ㄹ'로 보고 있다.

이와같이 우리나라의 도읍지는 왕조가 바뀌고 시대가 바뀌어도 부르는 칭호는 'ㅅ.ㅣㅂ.ㄹ''로 ' 곧 서울이었으며, 그것은 새국가가 수도를 옮겨 이룩한 '새 벌', '새 땅'의 의미를 지녔다.



2) 서울의 시대별 이름
서울은 시대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서울은 백제 온조왕 때에 위례성이라 했는데, 이는 역사상 서울에 붙은 최초의 이름이다. 위례는 곧 우리말의 우리, '울'을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나아가 '우리'라는 말도 울이 변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백제 근초고왕 26년(371년)에는 한산이라 했고, 뒤이어 북한산, 북한성이라는 이름도 보이는데 한산은 '큰 산', '한 뫼'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고구려 장수왕이 서울을 점령한 후에는 그전 이름대로 북한산군을 두었다가 장수왕 63년(475년)에 이 곳을 남평양이라 했는데, 남평양은 고구려 도읍지 평양의 남쪽에 있는 평양을 뜻한 것으로, 고구려가 이 곳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신라 진흥왕이 한강 유역을 점령한 후에는 이 곳에 새로운 주를 설치했으므로 신주라고 했다가 4년 후인 557년에는 그전 이름대로 북한산주라 했고, 또 11년 뒤인 568년에는 고을 다스리는 곳을 이천으로 옮기고 이름도 남천주로 바꾸었다.

한양/
진평왕 때 (604년) 다시 그전대로 북한산주를 두었으며, 통일신라의 경덕왕 16년 (757년)에는이 일대를 한주라 하고 서울에는 한양군을 두었으니, 한양이란 이름은 이미 조선왕조가 아닌신라 경덕왕 때부터 쓰기 시작했다.
한자식 땅 이름에서는 산은 남쪽, 또 강은 북쪽을 양이라하므로 크다는 뜻을 지닌 한과 북한산 남쪽, 한강의 북쪽을 뜻하는 양을 합하여 한양이라 한 것으로본다.

고려 태조 때(918년) 서울 부근을 통털어 양주라 하였는데, 양주는 버들골을 뜻하므로 고구려때의 남평양이라는 이름과도 서로 뜻이 통한다. 고려 문종 때는 서울을 남경이라 했다.

그 후 조선 왕조가 고려의 옛 수도인 개성을 떠나 이곳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한성으로 불렀다. 1910년 일제 강점기에는 경성으로 고쳐서 일제 36년간 불렸다. 그리고 해방이 되면서 우리말로 수도를 뜻하는 서울이란 이름을 찾아쓰게 되었다.


http://www.metro.seoul.kr/kor/overview/kidspage/myseoul-index.html


 


지금 서울의 어원은 새울 그러니까, 새로운 울타리, 새로이 형성된 지역이라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한울=하늘과도 비슷한 어원으로 쓰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248
170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471
169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2975
168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071
167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235
166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112
165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059
164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095
163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479
162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325
161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655
160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178
159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233
158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540
157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3848
156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644
155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323
154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153
153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119
152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124
151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바람의종 2008.04.25 3796
150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012
149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045
148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009
147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0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