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20

보은단

조회 수 306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은단

  홍순언은 이조 중엽의 역관으로 공에 의해 당룡군까지 봉한 분이다. 그가 중국에 들어가 남자의 호기로 기관엘 들렸는데 대파의 말이 신기하다.

  "귀한 댁 출신의 처녀가 있는데 하루 저녁 해우채가 자그마치 천냥이요 하루 저녁 모신 뒤로는 일생을 받들겠다 합니다"

  일종의 객기랄까 남자다운 성격의 그는 성큼 천금을 던지고 그 여성을 만났다. 그러나 너무나 성숙하고 나긋나긋하여 손 한 번 안 만지고 내력을 물으니 아버지를 고향으로 반장해 모실 비용이 없어 몸을 팔아 감당하겠노라는 끔찍한 얘기다. 효심에 감동되어 그냥 돌쳐서려니 여인은 울며 아버지로 모시겠노라고 하여 부녀로서의 인연을 맺고 헤어져왔다.

  그 뒤 홍수언은 공금 포탈로 옥에 갇혔다가 임진왜란이 터지자 다시 사신을 따라 중국엘 들어갔는데 그의 딸이 병부상서 석성의 후취부인으로 들어앉아 있지 않은가? 석성도 그를 장인으로 대하고 극진히 굴었다. 그리고 구원병 파견에 대하여도 남달리 주선하여 이여송의 군대를 파견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석성 부인은 재생의 은혜를 잊지 못해 보은 두자를 무늬로 넣어 손수 비단을 짜서 선물로 하였으며 이것은 이조 오백 년에 가장 인정미있는 얘깃거리로 널리 알려져 왔다.

  그런데 그 홍순언이 서울 복판의 다방골에 살았고 그의 동네를 '보은단 미담'의 고장이라 하여 '보은단골' 또는 담을 곱게 꾸미고 살았다고 하여 '고운담골'이라고 하였다. 한 때 정객들의 사교장이던 비장그릴은 이 '고운담골'에 있었기 때문에 이름 지은 것이라고 하였다.

 


  1. 모주

    Date2008.05.03 By바람의종 Views4145
    Read More
  2.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3090
    Read More
  3. 문래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3220
    Read More
  4.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3458
    Read More
  5.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3796
    Read More
  6. 보은단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3068
    Read More
  7.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Date2008.05.10 By바람의종 Views3463
    Read More
  8.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Date2008.05.11 By바람의종 Views4220
    Read More
  9.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Date2008.05.12 By바람의종 Views3949
    Read More
  10.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Date2008.05.23 By바람의종 Views3355
    Read More
  1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769
    Read More
  1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Date2008.06.02 By바람의종 Views3647
    Read More
  1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Date2008.06.03 By바람의종 Views3300
    Read More
  14.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3646
    Read More
  15.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4000
    Read More
  16.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Date2008.07.12 By바람의종 Views3006
    Read More
  17.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Date2008.07.18 By바람의종 Views3064
    Read More
  18.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Date2008.07.19 By바람의종 Views4146
    Read More
  19.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Date2008.07.21 By바람의종 Views3515
    Read More
  2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Date2008.07.24 By바람의종 Views3701
    Read More
  21.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Date2008.07.26 By바람의종 Views3181
    Read More
  22.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Date2008.07.28 By바람의종 Views3131
    Read More
  23.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Date2008.07.29 By바람의종 Views3384
    Read More
  24.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4713
    Read More
  25.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Date2008.08.03 By바람의종 Views490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