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20

보은단

조회 수 308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은단

  홍순언은 이조 중엽의 역관으로 공에 의해 당룡군까지 봉한 분이다. 그가 중국에 들어가 남자의 호기로 기관엘 들렸는데 대파의 말이 신기하다.

  "귀한 댁 출신의 처녀가 있는데 하루 저녁 해우채가 자그마치 천냥이요 하루 저녁 모신 뒤로는 일생을 받들겠다 합니다"

  일종의 객기랄까 남자다운 성격의 그는 성큼 천금을 던지고 그 여성을 만났다. 그러나 너무나 성숙하고 나긋나긋하여 손 한 번 안 만지고 내력을 물으니 아버지를 고향으로 반장해 모실 비용이 없어 몸을 팔아 감당하겠노라는 끔찍한 얘기다. 효심에 감동되어 그냥 돌쳐서려니 여인은 울며 아버지로 모시겠노라고 하여 부녀로서의 인연을 맺고 헤어져왔다.

  그 뒤 홍수언은 공금 포탈로 옥에 갇혔다가 임진왜란이 터지자 다시 사신을 따라 중국엘 들어갔는데 그의 딸이 병부상서 석성의 후취부인으로 들어앉아 있지 않은가? 석성도 그를 장인으로 대하고 극진히 굴었다. 그리고 구원병 파견에 대하여도 남달리 주선하여 이여송의 군대를 파견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석성 부인은 재생의 은혜를 잊지 못해 보은 두자를 무늬로 넣어 손수 비단을 짜서 선물로 하였으며 이것은 이조 오백 년에 가장 인정미있는 얘깃거리로 널리 알려져 왔다.

  그런데 그 홍순언이 서울 복판의 다방골에 살았고 그의 동네를 '보은단 미담'의 고장이라 하여 '보은단골' 또는 담을 곱게 꾸미고 살았다고 하여 '고운담골'이라고 하였다. 한 때 정객들의 사교장이던 비장그릴은 이 '고운담골'에 있었기 때문에 이름 지은 것이라고 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바람의종 2008.04.25 3956
120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299
119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233
118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271
11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495
116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01
115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3959
114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643
113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380
112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320
111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822
110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480
109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642
108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221
107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174
106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274
105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361
104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283
103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106
102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674
101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345
100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393
99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239
98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345
97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4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