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20

보은단

조회 수 315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은단

  홍순언은 이조 중엽의 역관으로 공에 의해 당룡군까지 봉한 분이다. 그가 중국에 들어가 남자의 호기로 기관엘 들렸는데 대파의 말이 신기하다.

  "귀한 댁 출신의 처녀가 있는데 하루 저녁 해우채가 자그마치 천냥이요 하루 저녁 모신 뒤로는 일생을 받들겠다 합니다"

  일종의 객기랄까 남자다운 성격의 그는 성큼 천금을 던지고 그 여성을 만났다. 그러나 너무나 성숙하고 나긋나긋하여 손 한 번 안 만지고 내력을 물으니 아버지를 고향으로 반장해 모실 비용이 없어 몸을 팔아 감당하겠노라는 끔찍한 얘기다. 효심에 감동되어 그냥 돌쳐서려니 여인은 울며 아버지로 모시겠노라고 하여 부녀로서의 인연을 맺고 헤어져왔다.

  그 뒤 홍수언은 공금 포탈로 옥에 갇혔다가 임진왜란이 터지자 다시 사신을 따라 중국엘 들어갔는데 그의 딸이 병부상서 석성의 후취부인으로 들어앉아 있지 않은가? 석성도 그를 장인으로 대하고 극진히 굴었다. 그리고 구원병 파견에 대하여도 남달리 주선하여 이여송의 군대를 파견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석성 부인은 재생의 은혜를 잊지 못해 보은 두자를 무늬로 넣어 손수 비단을 짜서 선물로 하였으며 이것은 이조 오백 년에 가장 인정미있는 얘깃거리로 널리 알려져 왔다.

  그런데 그 홍순언이 서울 복판의 다방골에 살았고 그의 동네를 '보은단 미담'의 고장이라 하여 '보은단골' 또는 담을 곱게 꾸미고 살았다고 하여 '고운담골'이라고 하였다. 한 때 정객들의 사교장이던 비장그릴은 이 '고운담골'에 있었기 때문에 이름 지은 것이라고 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736
170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507
169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872
168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바람의종 2007.01.23 4391
167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645
166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4197
165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바람의종 2007.01.26 4504
164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780
163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5197
162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4099
161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698
16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257
159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59
158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392
15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747
156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571
155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752
154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599
15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바람의종 2008.03.29 4013
15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344
151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324
150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328
149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324
148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28
14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