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20

보은단

조회 수 311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은단

  홍순언은 이조 중엽의 역관으로 공에 의해 당룡군까지 봉한 분이다. 그가 중국에 들어가 남자의 호기로 기관엘 들렸는데 대파의 말이 신기하다.

  "귀한 댁 출신의 처녀가 있는데 하루 저녁 해우채가 자그마치 천냥이요 하루 저녁 모신 뒤로는 일생을 받들겠다 합니다"

  일종의 객기랄까 남자다운 성격의 그는 성큼 천금을 던지고 그 여성을 만났다. 그러나 너무나 성숙하고 나긋나긋하여 손 한 번 안 만지고 내력을 물으니 아버지를 고향으로 반장해 모실 비용이 없어 몸을 팔아 감당하겠노라는 끔찍한 얘기다. 효심에 감동되어 그냥 돌쳐서려니 여인은 울며 아버지로 모시겠노라고 하여 부녀로서의 인연을 맺고 헤어져왔다.

  그 뒤 홍수언은 공금 포탈로 옥에 갇혔다가 임진왜란이 터지자 다시 사신을 따라 중국엘 들어갔는데 그의 딸이 병부상서 석성의 후취부인으로 들어앉아 있지 않은가? 석성도 그를 장인으로 대하고 극진히 굴었다. 그리고 구원병 파견에 대하여도 남달리 주선하여 이여송의 군대를 파견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석성 부인은 재생의 은혜를 잊지 못해 보은 두자를 무늬로 넣어 손수 비단을 짜서 선물로 하였으며 이것은 이조 오백 년에 가장 인정미있는 얘깃거리로 널리 알려져 왔다.

  그런데 그 홍순언이 서울 복판의 다방골에 살았고 그의 동네를 '보은단 미담'의 고장이라 하여 '보은단골' 또는 담을 곱게 꾸미고 살았다고 하여 '고운담골'이라고 하였다. 한 때 정객들의 사교장이던 비장그릴은 이 '고운담골'에 있었기 때문에 이름 지은 것이라고 하였다.

 


  1. No Image 02Oct
    by 바람의종
    2009/10/02 by 바람의종
    Views 3253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강과 삶

  2. No Image 22Apr
    by 바람의종
    2008/04/22 by 바람의종
    Views 3245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3. No Image 23Apr
    by 바람의종
    2008/04/23 by 바람의종
    Views 3242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4. No Image 05May
    by 바람의종
    2008/05/05 by 바람의종
    Views 3240 

    문래

  5. No Image 24Sep
    by 바람의종
    2008/09/24 by 바람의종
    Views 3240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6.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3240 

    우리말의 상상력 1 - 6. 가루와 분절

  7.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3234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8. No Image 26Jul
    by 바람의종
    2008/07/26 by 바람의종
    Views 3230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9. No Image 09Sep
    by 바람의종
    2008/09/09 by 바람의종
    Views 3212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10. No Image 01Dec
    by 바람의종
    2009/12/01 by 바람의종
    Views 319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11. No Image 14Apr
    by 바람의종
    2008/04/14 by 바람의종
    Views 3198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12. No Image 02May
    by 바람의종
    2009/05/02 by 바람의종
    Views 3173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13. No Image 28Jul
    by 바람의종
    2008/07/28 by 바람의종
    Views 3171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14. No Image 08Feb
    by 바람의종
    2010/02/08 by 바람의종
    Views 3154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15. No Image 09May
    by 바람의종
    2009/05/09 by 바람의종
    Views 3152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16. No Image 29Nov
    by 바람의종
    2009/11/29 by 바람의종
    Views 313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17. No Image 14Apr
    by 바람의종
    2009/04/14 by 바람의종
    Views 3120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18. No Image 05May
    by 바람의종
    2008/05/05 by 바람의종
    Views 3118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19. No Image 08May
    by 바람의종
    2008/05/08 by 바람의종
    Views 3114 

    보은단

  20. No Image 18Jul
    by 바람의종
    2008/07/18 by 바람의종
    Views 3092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21. No Image 12Jul
    by 바람의종
    2008/07/12 by 바람의종
    Views 3038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