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8 14:20

보은단

조회 수 308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은단

  홍순언은 이조 중엽의 역관으로 공에 의해 당룡군까지 봉한 분이다. 그가 중국에 들어가 남자의 호기로 기관엘 들렸는데 대파의 말이 신기하다.

  "귀한 댁 출신의 처녀가 있는데 하루 저녁 해우채가 자그마치 천냥이요 하루 저녁 모신 뒤로는 일생을 받들겠다 합니다"

  일종의 객기랄까 남자다운 성격의 그는 성큼 천금을 던지고 그 여성을 만났다. 그러나 너무나 성숙하고 나긋나긋하여 손 한 번 안 만지고 내력을 물으니 아버지를 고향으로 반장해 모실 비용이 없어 몸을 팔아 감당하겠노라는 끔찍한 얘기다. 효심에 감동되어 그냥 돌쳐서려니 여인은 울며 아버지로 모시겠노라고 하여 부녀로서의 인연을 맺고 헤어져왔다.

  그 뒤 홍수언은 공금 포탈로 옥에 갇혔다가 임진왜란이 터지자 다시 사신을 따라 중국엘 들어갔는데 그의 딸이 병부상서 석성의 후취부인으로 들어앉아 있지 않은가? 석성도 그를 장인으로 대하고 극진히 굴었다. 그리고 구원병 파견에 대하여도 남달리 주선하여 이여송의 군대를 파견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석성 부인은 재생의 은혜를 잊지 못해 보은 두자를 무늬로 넣어 손수 비단을 짜서 선물로 하였으며 이것은 이조 오백 년에 가장 인정미있는 얘깃거리로 널리 알려져 왔다.

  그런데 그 홍순언이 서울 복판의 다방골에 살았고 그의 동네를 '보은단 미담'의 고장이라 하여 '보은단골' 또는 담을 곱게 꾸미고 살았다고 하여 '고운담골'이라고 하였다. 한 때 정객들의 사교장이던 비장그릴은 이 '고운담골'에 있었기 때문에 이름 지은 것이라고 하였다.

 


  1. No Image 16Apr
    by 바람의종
    2008/04/16 by 바람의종
    Views 4771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2. No Image 05May
    by 바람의종
    2008/05/05 by 바람의종
    Views 3237 

    문래

  3. No Image 20Apr
    by 바람의종
    2008/04/20 by 바람의종
    Views 3876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4. No Image 25Mar
    by 바람의종
    2008/03/25 by 바람의종
    Views 3515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5. No Image 26Jul
    by 바람의종
    2008/07/26 by 바람의종
    Views 3224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6. No Image 02Sep
    by 바람의종
    2008/09/02 by 바람의종
    Views 3361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7. No Image 08May
    by 바람의종
    2008/05/08 by 바람의종
    Views 3087 

    보은단

  8. No Image 29Mar
    by 바람의종
    2008/03/29 by 바람의종
    Views 3981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9.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08/04/02 by 바람의종
    Views 3285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10.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08/03/24 by 바람의종
    Views 3690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11. No Image 27Oct
    by 風磬
    2006/10/27 by 風磬
    Views 4327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12. No Image 12Jul
    by 바람의종
    2008/07/12 by 바람의종
    Views 3026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13. No Image 01Aug
    by 바람의종
    2009/08/01 by 바람의종
    Views 3936 

    서울의 어원

  14.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8/09/06 by 바람의종
    Views 3513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15. No Image 28Nov
    by 風磬
    2006/11/28 by 風磬
    Views 4478 

    섬유회사 '코오롱'은 '코리아'+'나이롱'

  16.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7/01/26 by 바람의종
    Views 4465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17. No Image 08Aug
    by 바람의종
    2008/08/08 by 바람의종
    Views 3494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18. No Image 28Mar
    by 바람의종
    2008/03/28 by 바람의종
    Views 3541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19. No Image 01Jan
    by 風磬
    2007/01/01 by 風磬
    Views 3735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20. No Image 22Jun
    by 바람의종
    2008/06/22 by 바람의종
    Views 3670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21. No Image 15Nov
    by 風磬
    2006/11/15 by 風磬
    Views 4487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22. No Image 04Sep
    by 바람의종
    2008/09/04 by 바람의종
    Views 3306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23. No Image 15Jan
    by 風磬
    2007/01/15 by 風磬
    Views 4392 

    애국가 가사 중의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

  24. No Image 16Jan
    by 風磬
    2007/01/16 by 風磬
    Views 4288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25. No Image 24Jul
    by 바람의종
    2008/07/24 by 바람의종
    Views 374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