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88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우리말에 대한 반성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아들의 아내를 자부라 하고 우리말로는 "며느리"라 부른다. 시부모가 며느리를 다정스런 목소리로 "이애, 며늘아가!" 하고 부른다면 언뜻 생각하기에  매우 좋은 호칭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며느리라는 말의 본뜻을 안다면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다. 특히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여권운동가라면 며느리 호칭 추방에 나설지도 모를 일이다. 우선 "며느리 밥풀"이라는 꽃이름에 얽힌 사연에서 며느리란 말의 어원을 풀어 나가기로 한다. 옛날 못된 시어머니 밑에서 시집살이하던 어느 며느리가 너무나 배가 고파 몰래 밥풀을 훔쳐 먹었단다. 이를 알아차린 시어머니는 며느리를 혹독하게 다스린다. 견디다 못해 며느리는 "제가 먹은 것은 밥이 아니라 이런 밥풀이에요."라며 삼키지 못한 밥풀을 혀 끝에 내보이면서 끝내 숨을 거두고 만다. 이렇게 죽은 며느리는 밥풀나무로 환생하게 되었는데, 죽어서도 자기 신세가 처량하여 아무도 없는 깊은 산 속에서만 피게 되었다고 한다. 며느리밥풀은 종류도 다양하여 새며느리밥풀, 수염며느리밥풀, 애기며느리밥풀등으로 나뉜다. 이것뿐만이 아니다. "며느리주머니"나 "며느리발톱"도 있고, 심지어 "며느리밑씻개"라는 고약한 풀이름도 있다. 식물명에만 있는게 아니라 "쥐며느리"라는 동물명도 있고, "며느리고금"이라는 학질을 뜻하는 병명도 있다. "며느리바퀴"라면 쳇불을 메는 데 쓰이는 두 개의 좁은 테를 지칭하고, "며느리서까래"라는 서까래 이름도 있다. 며느리서까래에 얽힌 사연도 재미있다. 옛날 대궐을 짓던 어느 목수가 마름질을 잘못하여 서까래를 너무 짧게 자르고 말았다. 짧은 서까래를 걸어 놓고 보니 집이 제대로 설 수 없는지라 목수는 큰 벌을 받게 되었다. 이 때 사정을 안 며느리가 "아버님,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네모난 서까래를 잇달아 걸고 짧은 것은 집모양을 내느라 일부러 멋을 부렸다고 말씀드리면 어떻겠습니까?" 라는 멋진 제안을 내놓아 위기를 모면할수 있었다. 중벌을 받을 줄 알았던 목수는 오히려 임금님에게 큰 상을 받고 명장이라는 칭호까지 얻게 되었다. 이런 일이 있은 뒤 본서까래에 덧붙이는 작은 것을 며느리서까래라 부르게 되었다던가.

  이쯤 되면 "며느리"의 본뜻이 저절로 밝혀진다. 이 말의 본래 형태인 "마늘, 미늘, 며늘"은 하나의 주된 것에 덧붙어 기생한다는 뜻을 가졌다. 따라서 "며늘아이"의 준말인 며느리는 내 아이(아들)에게 더부살이로 기생하는 존재에 다름 아니다. 말하자면 조카며느리는 조카에게 딸린, 손자 며느리는 손자에게 딸린 지어미라는 뜻으로 철저한 남존여비 사상에서 비롯된 호칭어임이 자명해진다. 짐승이나 조류에도 "며느리 발톱" 이란 게 있는데, 이 명칭을 통해보면 며느리의 본 뜻이 더 분명해진다. 소의 발톱 가운데 평소 땅을 디디는데 소용되는 것은 앞쪽의 두 발톱이요, 뒤쪽에 있는 두 개는 그저 여벌로 달려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며느리"란 유사시에나 쓰일 뿐 퇴화하여 쓸모없게 된 것을 일컫는 말이 아닌가. 이는 지나친 남성 중심의 사고가  언어에도 반영된 흔적이다. 내 집에 살러 온 며느리가 여벌의 존재이다 보니 가족들, 특히 시어머니나 시누이에게 미움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속담에 "배 썩은 것은 딸을 주고 밤 썩은 것은 며느리 준다"고 했고, "며느리 아이 낳는 것은 보아도 딸이 낳는 것은 못 본다"고 했다. 게다가 "며느리 시앗은 열도 귀엽고 자기 시앗은 하나도 밉다"고 했다. 시앗이란 첩을 지칭하는 말인데, 아들은 첩이 많을수록 좋고 자기 남편의 첩은 하나도 용납할수 없다는 이야기다. 며느리를 얼마나  밉게 보았으면 이런 지독한 속담이 생겼을까.

  고유어 며느리에 해당하는 한자 부도 그리 좋은 의미는 아니다. 부는 "겨집 녀"자에 "비 추"자가 합친 글자로서 여자가 빗자루를 들고 서 있는 형상이다. 아내를 뜻하는 처 자도 이와 같은 구조의 글자로서 그저 집안에서 청소나 하는 존재라는 뜻이 담겨 있다. 그러나 이제 세상은 완전히 달라졌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난  지금 종래의 부부 호칭에서 안과 밖(내외,집사람)의 개념은 없어져야겠고, 며느리도 여벌로 딸린 존재가  아닌 꼭 필요한 동반자의 개념으로 바뀌어야 한다. 진정한 남녀 평등을 원한다면 "며늘아가"라는 호칭에서 "며늘"을 다른 말로 교체했으면 한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자주 쓰이는 "새아가"란  말이 산뜻한 인상을 준다. "새아기"도  좋고 "새아이", "새사람"도 무난할 것이다. 내 자식, 곧 내 아이에  대해서 새로 들어온 (생긴) 또 하나의 자식이란 뜻이다. 새아기도 나이를 먹어  또 다른 새아기가 생기면(시부모에게 손자가 생기면) 그때는 "어멈"이나 "에미, 어미"라고 부르면 족할터이다. 이 말에는 새아기에게도 자식이 생겼으니 부모로서의 역할을 다 하라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이애, 며늘아가!"라는 부름에서 "이애, 새아가!" 또는 "이애,  어멈아!"하는 부름으로 자연스레 옮겨갔으면 한다.

 


  1. 모주

    Date2008.05.03 By바람의종 Views4236
    Read More
  2.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3220
    Read More
  3. 문래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3312
    Read More
  4.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3617
    Read More
  5.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3884
    Read More
  6. 보은단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3226
    Read More
  7.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Date2008.05.10 By바람의종 Views3565
    Read More
  8.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Date2008.05.11 By바람의종 Views4319
    Read More
  9.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Date2008.05.12 By바람의종 Views4024
    Read More
  10.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Date2008.05.23 By바람의종 Views3465
    Read More
  1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871
    Read More
  1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Date2008.06.02 By바람의종 Views3756
    Read More
  1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Date2008.06.03 By바람의종 Views3411
    Read More
  14.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3708
    Read More
  15.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4112
    Read More
  16.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Date2008.07.12 By바람의종 Views3106
    Read More
  17.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Date2008.07.18 By바람의종 Views3182
    Read More
  18.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Date2008.07.19 By바람의종 Views4233
    Read More
  19.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Date2008.07.21 By바람의종 Views3679
    Read More
  2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Date2008.07.24 By바람의종 Views3787
    Read More
  21.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Date2008.07.26 By바람의종 Views3317
    Read More
  22.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Date2008.07.28 By바람의종 Views3303
    Read More
  23.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Date2008.07.29 By바람의종 Views3532
    Read More
  24.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4861
    Read More
  25.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Date2008.08.03 By바람의종 Views500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