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66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혓바닥을 조심하라"는 속언이 있다. 중국 속담에도 "세 치의 혓바닥이 다섯 자의 몸을 좌우한다"는 무서운 경고가 있다. 모두 말을 함부로 하지 말라는 경고성 속담들인데, 여기서 말하는 혀(설)가 말(어원)을 지칭함은 금새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말과 뿌리가 같다는 몽골어에서도 혀를 "kele"라 한다. 중세 문헌에 "?"로 표기되었던 "가로다"가 바로 그 흔적이다. 유교 경전에 "공자 왈, 맹자 왈"하는 그 왈을 번역한 공자 가라사대,  맹자 가라사대의 가로다가 바로 그것이다. 사람이 말을 할 때 발음 기관가운데서도 혀가 주된 역할을 담당하기에 이 혀에 언어라는 의미가 부가된 것이다. 영어의 "language"의 뿌리인 라틴어의 "lingua"가 혀를 지칭하는 말임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몽골어나 서구어에서 보듯 "말"이라는 말의 뿌리가 혀에 있음을 알았다. 혀를 한자로 설이라 하는데, 이 설 역시 언어의 의미로 쓰인다. 우리가 글을 잘못 쓰면 필화를 당하고, 말을 잘못하면 설화를 입는다고 한다. 황당한 일이나 끔직한 봉변을 당했을 때 흔히 "필설로 다하지 못한다"고 한다. 붓 끝이나 혓바닥이 미처 그 정황을 모두 그려낼 수 없다는 뜻이다.

  설대라는 한자말도 있다. 혓바닥을 대신한다는 뜻이니 말 대신에 글로 알릴 때 쓰는 말이다. 이를테면 친구를 만나기 위해 그의 집에 갔다가 그가 부재중일 때 이런 쪽지를 남긴다."설대 - 이 친구야, 지금이 어느땐데 그렇게 짤짤거리며 싸댕기냐?  다름이 아니구 아무날 아무시에 아무곳으로 나오너라. - 친구 아무개가."

  "말"이 우리 고유어임에는 틀림없으나 그 어원만은 확실히 밝힐수 없음이 유감이다. "말"과 "혀"는 어형부터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 한국어가 문명국 언어임을 자처하면서도 지금껏 제대로 된 어원 사전을 가지지 못한 것은 이 "말"의 뿌리조차 캐내지 못한 데 이유가 있기도 하다. "말:의 어원에 대하여 어떤이는 인도 드라비다 어의 "말루(marru)"와 동계어라 주장하기도 하고, 또 "말미암다"의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인연설은 어떤 말이든지 그것이 생성된(말미암은) 필연적인 연유가 있다는 주장인데, 가능성은 있으나 이를 입증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한편 말의 기원어를 "맏"으로 재구하여 "묻-"이나  "믿-"도 모두 기원어인 "맏"의 모음교체라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무당을 일컫는 "무꾸리"는 "묻-"의 파생어로서 신과 인간 사이에서 인간의 일을 신에게 물어보는 중개인이라고 설명한다. 한자의 "믿을신"자가 "사람인"변에 "말씀언"을 쓰고 있는데, 사람의 말은 믿을 수 있다는 데서 "맏(말)"과 "믿"이 말뿌리를 같이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말"에 대한 어사로 "곧"을 들기도 한다. 잠꼬대는 잠과 "곧+애"의 합성으로 잠결에 하는 말이며, "곧이듣는다"나 "고자질(곧+아+질)", "꾸중(굳,곧+웅)"등이 모두 말을 뜻하는 "곧"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본능이라 할 수 있다. 인류의 계통을 캐는 일만큼이나 언어의 뿌리를 캐는 일, 즉 어원 탐구는 어렵고도 중요한 일이다. 현재 쓰이고 있는 언어의 의미를 더 정확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말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감정이나 의식에서 생성되었는가를 밝혀 준다는 점에서  어원 탐구는 큰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우리말의 뿌리를 캐는 일은 우리 민족의 기원과 민족성을 밝히는 일과도 직결된다. 한국인의 정서나 사상 또는 의식 구조는 한국인이 쓰는 언어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리가 일상에 쓰고 있는 언어, 특히 우리만이 쓰고 있는 한국어의 가치나 중요성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본 적이 드물 것이다. 말과 글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우리는 충분히 감사하고 행복하다고 생각해야 한다. 특히 반만년에 걸쳐 생성,  발전해 온 우리말과 반 천년에 걸쳐 갈고 닦아 온 우리글이 있음에 대해 깊이 고마워해야 한다. 흔히 말은 그 사람 자체로 평가된다. 말 곧 언행을 통하여 그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은 물론 그가 지닌 지식이나 교양등 인간  됨됨이를 짐작할 수 있다. 신언서판이라는 말이  있다. 옛날 당나라에서 관리를 뽑을 때 평가 기준으로 삼았던 것이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받아들여져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으로 한 인간에 대한 평가는 그의 생김새나 차림새가 아니라 그가 구사하는 말씨(글씨)에 있다고 하겠다.독일의 철학자 피히테는 "언어가 인간에  의하여 만들어진다기보다는 훨씬 더 많은 언어에 의하여 인간이 만들어진다"고 단언하였다. 우리 속담에도 "말 한마디로 천냥 빚도 가린다"고 하지 않았던가.

  말의 중요성을 무엇에 비유하랴. 우리에게 우리만의 정서나 생각을 담는  한국어와 한국 문자가 있음을 참으로 다행하게 생각지 않을 수  없다. 노산 선생의 "애국시"에 있는 "겨레여, 우리에게 조국이 있다. 내 사랑 바칠 곳은 오직 여기뿐..."이라는 구절을 상기하자. 이 구절을 "겨레여, 우리에게 우리말이 있다. 내 사랑 바칠 곳은 오직 여기뿐..."으로 고쳐 불러도 좋으리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051
120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2/3) 바람의종 2009.07.07 4056
119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4071
118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111
117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114
116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바람의종 2009.06.29 4123
115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風磬 2006.12.25 4125
114 '가게'는 널판지로 만든 시렁에 물건을 진열하여 놓고 파는 곳 風磬 2006.12.18 4127
113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128
112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142
11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한강의 뿌리, 우통수(于筒水) 바람의종 2009.07.15 4154
110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166
109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風磬 2006.10.11 4173
108 '감기'는 옛날에 '고뿔'이라고 불렀습니다. 곧 '코에 불(열)이 난다는 뜻 風磬 2006.12.14 4182
107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4186
106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191
105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199
104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4202
103 '곰보'는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 風磬 2007.01.14 4205
102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風磬 2006.11.17 4206
101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風磬 2006.12.11 4209
100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風磬 2006.12.05 4218
99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234
98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49
97 '사꾸라'는 일본어...말고기를 뜻합니다 風磬 2006.11.29 42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