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66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혓바닥을 조심하라"는 속언이 있다. 중국 속담에도 "세 치의 혓바닥이 다섯 자의 몸을 좌우한다"는 무서운 경고가 있다. 모두 말을 함부로 하지 말라는 경고성 속담들인데, 여기서 말하는 혀(설)가 말(어원)을 지칭함은 금새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말과 뿌리가 같다는 몽골어에서도 혀를 "kele"라 한다. 중세 문헌에 "?"로 표기되었던 "가로다"가 바로 그 흔적이다. 유교 경전에 "공자 왈, 맹자 왈"하는 그 왈을 번역한 공자 가라사대,  맹자 가라사대의 가로다가 바로 그것이다. 사람이 말을 할 때 발음 기관가운데서도 혀가 주된 역할을 담당하기에 이 혀에 언어라는 의미가 부가된 것이다. 영어의 "language"의 뿌리인 라틴어의 "lingua"가 혀를 지칭하는 말임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몽골어나 서구어에서 보듯 "말"이라는 말의 뿌리가 혀에 있음을 알았다. 혀를 한자로 설이라 하는데, 이 설 역시 언어의 의미로 쓰인다. 우리가 글을 잘못 쓰면 필화를 당하고, 말을 잘못하면 설화를 입는다고 한다. 황당한 일이나 끔직한 봉변을 당했을 때 흔히 "필설로 다하지 못한다"고 한다. 붓 끝이나 혓바닥이 미처 그 정황을 모두 그려낼 수 없다는 뜻이다.

  설대라는 한자말도 있다. 혓바닥을 대신한다는 뜻이니 말 대신에 글로 알릴 때 쓰는 말이다. 이를테면 친구를 만나기 위해 그의 집에 갔다가 그가 부재중일 때 이런 쪽지를 남긴다."설대 - 이 친구야, 지금이 어느땐데 그렇게 짤짤거리며 싸댕기냐?  다름이 아니구 아무날 아무시에 아무곳으로 나오너라. - 친구 아무개가."

  "말"이 우리 고유어임에는 틀림없으나 그 어원만은 확실히 밝힐수 없음이 유감이다. "말"과 "혀"는 어형부터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 한국어가 문명국 언어임을 자처하면서도 지금껏 제대로 된 어원 사전을 가지지 못한 것은 이 "말"의 뿌리조차 캐내지 못한 데 이유가 있기도 하다. "말:의 어원에 대하여 어떤이는 인도 드라비다 어의 "말루(marru)"와 동계어라 주장하기도 하고, 또 "말미암다"의 "말-"에서 나온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인연설은 어떤 말이든지 그것이 생성된(말미암은) 필연적인 연유가 있다는 주장인데, 가능성은 있으나 이를 입증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한편 말의 기원어를 "맏"으로 재구하여 "묻-"이나  "믿-"도 모두 기원어인 "맏"의 모음교체라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무당을 일컫는 "무꾸리"는 "묻-"의 파생어로서 신과 인간 사이에서 인간의 일을 신에게 물어보는 중개인이라고 설명한다. 한자의 "믿을신"자가 "사람인"변에 "말씀언"을 쓰고 있는데, 사람의 말은 믿을 수 있다는 데서 "맏(말)"과 "믿"이 말뿌리를 같이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말"에 대한 어사로 "곧"을 들기도 한다. 잠꼬대는 잠과 "곧+애"의 합성으로 잠결에 하는 말이며, "곧이듣는다"나 "고자질(곧+아+질)", "꾸중(굳,곧+웅)"등이 모두 말을 뜻하는 "곧"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이다.

  자신의 뿌리를 알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본능이라 할 수 있다. 인류의 계통을 캐는 일만큼이나 언어의 뿌리를 캐는 일, 즉 어원 탐구는 어렵고도 중요한 일이다. 현재 쓰이고 있는 언어의 의미를 더 정확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말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감정이나 의식에서 생성되었는가를 밝혀 준다는 점에서  어원 탐구는 큰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우리말의 뿌리를 캐는 일은 우리 민족의 기원과 민족성을 밝히는 일과도 직결된다. 한국인의 정서나 사상 또는 의식 구조는 한국인이 쓰는 언어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리가 일상에 쓰고 있는 언어, 특히 우리만이 쓰고 있는 한국어의 가치나 중요성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본 적이 드물 것이다. 말과 글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우리는 충분히 감사하고 행복하다고 생각해야 한다. 특히 반만년에 걸쳐 생성,  발전해 온 우리말과 반 천년에 걸쳐 갈고 닦아 온 우리글이 있음에 대해 깊이 고마워해야 한다. 흔히 말은 그 사람 자체로 평가된다. 말 곧 언행을 통하여 그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은 물론 그가 지닌 지식이나 교양등 인간  됨됨이를 짐작할 수 있다. 신언서판이라는 말이  있다. 옛날 당나라에서 관리를 뽑을 때 평가 기준으로 삼았던 것이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받아들여져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으로 한 인간에 대한 평가는 그의 생김새나 차림새가 아니라 그가 구사하는 말씨(글씨)에 있다고 하겠다.독일의 철학자 피히테는 "언어가 인간에  의하여 만들어진다기보다는 훨씬 더 많은 언어에 의하여 인간이 만들어진다"고 단언하였다. 우리 속담에도 "말 한마디로 천냥 빚도 가린다"고 하지 않았던가.

  말의 중요성을 무엇에 비유하랴. 우리에게 우리만의 정서나 생각을 담는  한국어와 한국 문자가 있음을 참으로 다행하게 생각지 않을 수  없다. 노산 선생의 "애국시"에 있는 "겨레여, 우리에게 조국이 있다. 내 사랑 바칠 곳은 오직 여기뿐..."이라는 구절을 상기하자. 이 구절을 "겨레여, 우리에게 우리말이 있다. 내 사랑 바칠 곳은 오직 여기뿐..."으로 고쳐 불러도 좋으리라.

 


  1. No Image 22Jun
    by 바람의종
    2008/06/22 by 바람의종
    Views 3685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2. No Image 02Jun
    by 바람의종
    2008/06/02 by 바람의종
    Views 3687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3. No Image 27Apr
    by 바람의종
    2008/04/27 by 바람의종
    Views 3700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4. No Image 14Jul
    by 바람의종
    2009/07/14 by 바람의종
    Views 3715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5. No Image 30Oct
    by 風磬
    2006/10/30 by 風磬
    Views 3723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6. No Image 04Dec
    by 風磬
    2006/12/04 by 風磬
    Views 3736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7. No Image 31Dec
    by 風磬
    2006/12/31 by 風磬
    Views 3736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8.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08/03/24 by 바람의종
    Views 373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9. No Image 13Nov
    by 風磬
    2006/11/13 by 風磬
    Views 3738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10.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9/10/06 by 바람의종
    Views 373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11.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08/03/27 by 바람의종
    Views 3743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12. No Image 15May
    by 바람의종
    2009/05/15 by 바람의종
    Views 3748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13. No Image 24Jul
    by 바람의종
    2008/07/24 by 바람의종
    Views 3749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14. No Image 28Apr
    by 바람의종
    2008/04/28 by 바람의종
    Views 3758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15.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9/05/25 by 바람의종
    Views 3765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16. No Image 29Dec
    by 風磬
    2006/12/29 by 風磬
    Views 3769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17. No Image 01Jan
    by 風磬
    2007/01/01 by 風磬
    Views 3775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18. No Image 03Jan
    by 風磬
    2007/01/03 by 風磬
    Views 3777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19.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08/04/26 by 바람의종
    Views 3788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20. No Image 18Oct
    by 風磬
    2006/10/18 by 風磬
    Views 3812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1.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3817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22. No Image 03Apr
    by 바람의종
    2008/04/03 by 바람의종
    Views 3820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23.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8/09/20 by 바람의종
    Views 3829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24. No Image 27Dec
    by 風磬
    2006/12/27 by 風磬
    Views 3839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25. No Image 09Feb
    by 바람의종
    2010/02/09 by 바람의종
    Views 3842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