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5:55

과메기

조회 수 335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메기

경북 남부 해안지방에서는 겨울철 별미로 과메기를 즐겨 먹는다. 추운 겨울에 날꽁치를 얼렸다 말렸다 하면서 만든 과메기는 이제 전국 각지로 팔려나가 유명해졌다. 포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어르신들의 말로, 과메기는 본디 청어로 만들었는데, 청어가 귀해져서 꽁치로 만든다고 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과메기’를 경북지방 사투리로서 ‘꽁치를 차게 말린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관목’(貫目)은 ‘말린 청어’라는 풀이와 함께 모든 사전에 올려놨다. 여기서 포항 고장 어르신들이 하는 말씀의 실마리가 잡힌다.

‘과메기’는 ‘관목’이 변한 말로 짚어볼 수 있다. ‘관목’에 접미사 ‘-이’가 붙어서 ‘관목이’가 되고 다시 [ㄴ]이 떨어져 ‘과목이’가 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뒷모음 [ㅣ]가 앞모음에 영향(ㅣ모음역행동화)을 주어 ‘과뫼기’가 된다. 이런 현상은 우리말에서 자주 나타난다. ‘남비’가 ‘냄비’로 되는 따위의 음운현상이다. 그 다음 ‘과메기’로 형태가 굳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때 이 말의 본고장인 포항에서조차 ‘과메기’냐, ‘과매기’냐 하는 이야기가 오간 적이 있었다. 귀로 이 두 발음을 골라 듣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관목’에서 추적하면 쉽게 해결된다.

산(山)의 우리말은 ‘뫼’였다. 이것이 오늘날 ‘메’로 바뀌었다. 멧돼지·멧새 등에서 보기를 찾을 수 있다. ‘뫼’가 ‘메’ 바뀌어 왔다는 사실로 미루어보면 ‘과뫼기’는 ‘과매기’가 아니라 ‘과메기’로 되어야 할 것이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바람의종 2009.05.04 3542
170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154
169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바람의종 2009.07.08 3823
168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2/3) 바람의종 2009.07.07 4011
167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622
166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바람의종 2009.06.30 4600
165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바람의종 2009.06.29 4086
164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301
163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480
162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083
161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295
160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바람의종 2008.04.29 4016
159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738
158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686
157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768
156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426
155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바람의종 2008.09.19 3899
154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556
153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712
152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602
151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457
15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733
149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風磬 2007.01.16 4284
148 애국가 가사 중의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 風磬 2007.01.15 4388
147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3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