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5:55

과메기

조회 수 342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메기

경북 남부 해안지방에서는 겨울철 별미로 과메기를 즐겨 먹는다. 추운 겨울에 날꽁치를 얼렸다 말렸다 하면서 만든 과메기는 이제 전국 각지로 팔려나가 유명해졌다. 포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어르신들의 말로, 과메기는 본디 청어로 만들었는데, 청어가 귀해져서 꽁치로 만든다고 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과메기’를 경북지방 사투리로서 ‘꽁치를 차게 말린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관목’(貫目)은 ‘말린 청어’라는 풀이와 함께 모든 사전에 올려놨다. 여기서 포항 고장 어르신들이 하는 말씀의 실마리가 잡힌다.

‘과메기’는 ‘관목’이 변한 말로 짚어볼 수 있다. ‘관목’에 접미사 ‘-이’가 붙어서 ‘관목이’가 되고 다시 [ㄴ]이 떨어져 ‘과목이’가 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뒷모음 [ㅣ]가 앞모음에 영향(ㅣ모음역행동화)을 주어 ‘과뫼기’가 된다. 이런 현상은 우리말에서 자주 나타난다. ‘남비’가 ‘냄비’로 되는 따위의 음운현상이다. 그 다음 ‘과메기’로 형태가 굳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때 이 말의 본고장인 포항에서조차 ‘과메기’냐, ‘과매기’냐 하는 이야기가 오간 적이 있었다. 귀로 이 두 발음을 골라 듣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관목’에서 추적하면 쉽게 해결된다.

산(山)의 우리말은 ‘뫼’였다. 이것이 오늘날 ‘메’로 바뀌었다. 멧돼지·멧새 등에서 보기를 찾을 수 있다. ‘뫼’가 ‘메’ 바뀌어 왔다는 사실로 미루어보면 ‘과뫼기’는 ‘과매기’가 아니라 ‘과메기’로 되어야 할 것이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331
17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803
169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682
168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4246
167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191
166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3118
165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123
164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723
16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428
16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758
16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86
160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72
159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4033
158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338
157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68
156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236
155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바람의종 2008.05.08 3906
154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622
153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319
152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245
151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249
150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226
149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383
148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372
147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바람의종 2008.04.29 40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