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5:55

과메기

조회 수 335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메기

경북 남부 해안지방에서는 겨울철 별미로 과메기를 즐겨 먹는다. 추운 겨울에 날꽁치를 얼렸다 말렸다 하면서 만든 과메기는 이제 전국 각지로 팔려나가 유명해졌다. 포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어르신들의 말로, 과메기는 본디 청어로 만들었는데, 청어가 귀해져서 꽁치로 만든다고 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과메기’를 경북지방 사투리로서 ‘꽁치를 차게 말린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관목’(貫目)은 ‘말린 청어’라는 풀이와 함께 모든 사전에 올려놨다. 여기서 포항 고장 어르신들이 하는 말씀의 실마리가 잡힌다.

‘과메기’는 ‘관목’이 변한 말로 짚어볼 수 있다. ‘관목’에 접미사 ‘-이’가 붙어서 ‘관목이’가 되고 다시 [ㄴ]이 떨어져 ‘과목이’가 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뒷모음 [ㅣ]가 앞모음에 영향(ㅣ모음역행동화)을 주어 ‘과뫼기’가 된다. 이런 현상은 우리말에서 자주 나타난다. ‘남비’가 ‘냄비’로 되는 따위의 음운현상이다. 그 다음 ‘과메기’로 형태가 굳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때 이 말의 본고장인 포항에서조차 ‘과메기’냐, ‘과매기’냐 하는 이야기가 오간 적이 있었다. 귀로 이 두 발음을 골라 듣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관목’에서 추적하면 쉽게 해결된다.

산(山)의 우리말은 ‘뫼’였다. 이것이 오늘날 ‘메’로 바뀌었다. 멧돼지·멧새 등에서 보기를 찾을 수 있다. ‘뫼’가 ‘메’ 바뀌어 왔다는 사실로 미루어보면 ‘과뫼기’는 ‘과매기’가 아니라 ‘과메기’로 되어야 할 것이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1.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Date2008.04.06 By바람의종 Views3284
    Read More
  2.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Date2008.04.02 By바람의종 Views3285
    Read More
  3.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Date2008.03.30 By바람의종 Views3287
    Read More
  4.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Date2008.04.01 By바람의종 Views3295
    Read More
  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죽령(竹嶺)과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Date2010.01.19 By바람의종 Views3296
    Read More
  6.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Date2008.04.24 By바람의종 Views3299
    Read More
  7.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Date2008.04.30 By바람의종 Views3299
    Read More
  8. '사냥'은 원래 한자어

    Date2006.11.14 By風磬 Views3301
    Read More
  9.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Date2008.04.15 By바람의종 Views3301
    Read More
  10.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1/2)

    Date2009.06.15 By바람의종 Views3301
    Read More
  11.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Date2008.09.04 By바람의종 Views3306
    Read More
  12.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Date2009.06.17 By바람의종 Views3306
    Read More
  1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Date2008.06.03 By바람의종 Views3312
    Read More
  14.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Date2008.09.23 By바람의종 Views3329
    Read More
  1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소리란 무엇인가

    Date2010.01.22 By바람의종 Views3333
    Read More
  16.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백마강, 강릉

    Date2009.09.21 By바람의종 Views3351
    Read More
  17. 과메기

    Date2008.03.22 By바람의종 Views3354
    Read More
  18.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Date2008.09.18 By바람의종 Views3354
    Read More
  19.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Date2008.09.02 By바람의종 Views3356
    Read More
  20.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Date2007.01.02 By風磬 Views3359
    Read More
  21.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Date2008.04.07 By바람의종 Views3362
    Read More
  22.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3367
    Read More
  23.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Date2006.12.23 By風磬 Views3368
    Read More
  24.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Date2008.05.23 By바람의종 Views3381
    Read More
  25.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Date2009.05.09 By바람의종 Views339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