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5:55

과메기

조회 수 338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메기

경북 남부 해안지방에서는 겨울철 별미로 과메기를 즐겨 먹는다. 추운 겨울에 날꽁치를 얼렸다 말렸다 하면서 만든 과메기는 이제 전국 각지로 팔려나가 유명해졌다. 포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어르신들의 말로, 과메기는 본디 청어로 만들었는데, 청어가 귀해져서 꽁치로 만든다고 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과메기’를 경북지방 사투리로서 ‘꽁치를 차게 말린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관목’(貫目)은 ‘말린 청어’라는 풀이와 함께 모든 사전에 올려놨다. 여기서 포항 고장 어르신들이 하는 말씀의 실마리가 잡힌다.

‘과메기’는 ‘관목’이 변한 말로 짚어볼 수 있다. ‘관목’에 접미사 ‘-이’가 붙어서 ‘관목이’가 되고 다시 [ㄴ]이 떨어져 ‘과목이’가 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뒷모음 [ㅣ]가 앞모음에 영향(ㅣ모음역행동화)을 주어 ‘과뫼기’가 된다. 이런 현상은 우리말에서 자주 나타난다. ‘남비’가 ‘냄비’로 되는 따위의 음운현상이다. 그 다음 ‘과메기’로 형태가 굳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때 이 말의 본고장인 포항에서조차 ‘과메기’냐, ‘과매기’냐 하는 이야기가 오간 적이 있었다. 귀로 이 두 발음을 골라 듣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관목’에서 추적하면 쉽게 해결된다.

산(山)의 우리말은 ‘뫼’였다. 이것이 오늘날 ‘메’로 바뀌었다. 멧돼지·멧새 등에서 보기를 찾을 수 있다. ‘뫼’가 ‘메’ 바뀌어 왔다는 사실로 미루어보면 ‘과뫼기’는 ‘과매기’가 아니라 ‘과메기’로 되어야 할 것이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25
120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21
119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風磬 2006.12.29 3789
118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788
117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바람의종 2009.05.25 3781
116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778
115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775
114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762
113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758
112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756
111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風磬 2006.12.31 3747
110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744
109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741
10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바람의종 2009.10.06 3741
10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737
106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736
105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735
10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바람의종 2009.07.14 3726
103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704
10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698
101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685
100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684
99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673
98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671
9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바람의종 2010.01.26 36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