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5:55

과메기

조회 수 320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메기

경북 남부 해안지방에서는 겨울철 별미로 과메기를 즐겨 먹는다. 추운 겨울에 날꽁치를 얼렸다 말렸다 하면서 만든 과메기는 이제 전국 각지로 팔려나가 유명해졌다. 포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어르신들의 말로, 과메기는 본디 청어로 만들었는데, 청어가 귀해져서 꽁치로 만든다고 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과메기’를 경북지방 사투리로서 ‘꽁치를 차게 말린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관목’(貫目)은 ‘말린 청어’라는 풀이와 함께 모든 사전에 올려놨다. 여기서 포항 고장 어르신들이 하는 말씀의 실마리가 잡힌다.

‘과메기’는 ‘관목’이 변한 말로 짚어볼 수 있다. ‘관목’에 접미사 ‘-이’가 붙어서 ‘관목이’가 되고 다시 [ㄴ]이 떨어져 ‘과목이’가 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뒷모음 [ㅣ]가 앞모음에 영향(ㅣ모음역행동화)을 주어 ‘과뫼기’가 된다. 이런 현상은 우리말에서 자주 나타난다. ‘남비’가 ‘냄비’로 되는 따위의 음운현상이다. 그 다음 ‘과메기’로 형태가 굳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때 이 말의 본고장인 포항에서조차 ‘과메기’냐, ‘과매기’냐 하는 이야기가 오간 적이 있었다. 귀로 이 두 발음을 골라 듣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관목’에서 추적하면 쉽게 해결된다.

산(山)의 우리말은 ‘뫼’였다. 이것이 오늘날 ‘메’로 바뀌었다. 멧돼지·멧새 등에서 보기를 찾을 수 있다. ‘뫼’가 ‘메’ 바뀌어 왔다는 사실로 미루어보면 ‘과뫼기’는 ‘과매기’가 아니라 ‘과메기’로 되어야 할 것이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1. No Image 29Jul
    by 바람의종
    2008/07/29 by 바람의종
    Views 3217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2. No Image 21Sep
    by 바람의종
    2009/09/21 by 바람의종
    Views 321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백마강, 강릉

  3. No Image 12Jun
    by 바람의종
    2009/06/12 by 바람의종
    Views 3216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4.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10/01/22 by 바람의종
    Views 321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소리란 무엇인가

  5. No Image 22Mar
    by 바람의종
    2008/03/22 by 바람의종
    Views 3207 

    과메기

  6. No Image 02Jan
    by 風磬
    2007/01/02 by 風磬
    Views 3203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7. No Image 23Dec
    by 風磬
    2006/12/23 by 風磬
    Views 3193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8.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10/01/19 by 바람의종
    Views 318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죽령(竹嶺)과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9. No Image 04Sep
    by 바람의종
    2008/09/04 by 바람의종
    Views 3176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10. No Image 23Sep
    by 바람의종
    2008/09/23 by 바람의종
    Views 3161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11. No Image 14Nov
    by 風磬
    2006/11/14 by 風磬
    Views 3153 

    '사냥'은 원래 한자어

  12. No Image 30Apr
    by 바람의종
    2008/04/30 by 바람의종
    Views 3151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13. No Image 15Jun
    by 바람의종
    2009/06/15 by 바람의종
    Views 3139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1/2)

  14. No Image 05Apr
    by 바람의종
    2008/04/05 by 바람의종
    Views 3134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15. No Image 03Jun
    by 바람의종
    2008/06/03 by 바람의종
    Views 3131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16. No Image 02Oct
    by 바람의종
    2009/10/02 by 바람의종
    Views 312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강과 삶

  17. No Image 07Feb
    by 바람의종
    2010/02/07 by 바람의종
    Views 312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곰신앙과 땅이름

  18. No Image 24Apr
    by 바람의종
    2008/04/24 by 바람의종
    Views 3120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19. No Image 02Sep
    by 바람의종
    2008/09/02 by 바람의종
    Views 3116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20. No Image 23Apr
    by 바람의종
    2008/04/23 by 바람의종
    Views 3107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21. No Image 31Mar
    by 바람의종
    2008/03/31 by 바람의종
    Views 3105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22. No Image 01Apr
    by 바람의종
    2008/04/01 by 바람의종
    Views 3104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23.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08/04/02 by 바람의종
    Views 3098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24. No Image 08Apr
    by 바람의종
    2008/04/08 by 바람의종
    Views 3098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25.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09/05/28 by 바람의종
    Views 3090 

    우리말의 상상력 1 - 6. 가루와 분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