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31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곶감'에 얽힌 이야기는 무척 많습니다. 호랑이가 자기보다도 무서운  것으로 알았다는  이야기로부터 시작해서 말입니다. 그리고 속담도 많지요.  '곶감이 접반이라도 입이 쓰다'(마음이 언짢아서 입맛이 쓸 때), '곶감 꼬치에서  곶감 빼 먹듯'(알뜰히 모아 둔 것을 힘들이지 않고 하나씩 빼어 먹어  없앤다는 뜻), '곶 감 죽을 먹고 엿목판에 엎드러졌다'(연달아 좋은  수가 생겼다는 뜻)  '곶감 죽을 쑤어 먹었나'(왜  웃느냐고 핀잔 주는 말) '당장  먹기엔 곶감이 달다' 등등.

   이 '곶감'의 '감'은 물론 과일의 하나인 '감'이지요.  그리고 '곶'은 '곶다'의 어간 '곶-'입니다. '곶다'는 현대국어에서는 된소리가 되어 '꽂다'로 되었지요. 그래서  일부 방언에서는 '꽂감'이라고도 하지요. 그러니까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을 말합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21. '꽁치'의 어원에 관한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風磬 2006.10.10 4986
20 20. '만나다'는 '맞나다'에서 온말 風磬 2006.10.09 5495
19 19. '물 한 모금 마시고'의 '모금'은 '먹다'와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08 5691
18 18. '뚜렷하다' '또렷하다'는 원래 '둥글다'는 뜻 風磬 2006.10.07 5695
17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風磬 2006.10.06 4808
16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風磬 2006.10.05 4866
15 15. '방구'(가죽피리)는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 風磬 2006.10.04 5190
14 14. '벽'의 사투리인 '베름빡'에 관하여 風磬 2006.10.03 5399
13 13. 설화에 의하면 '베짱이'는 베를 짜고 노래를 부르는 곤충. 風磬 2006.10.02 5159
12 12. '고양이'를 왜 '나비야!'하고 부를까요? 風磬 2006.10.01 5496
11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風磬 2006.09.30 5356
10 10. 가루처럼 내리는 비가 '가랑비'이고 이슬처럼 내리는 비가 '이슬비' 風磬 2006.09.29 5160
9 9. 남자 생식기 '불X'의 '불'은 무엇을 뜻하는 말로부터 온 것일까요? 風磬 2006.09.28 4546
8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風磬 2006.09.27 4957
7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5095
6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847
5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894
4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854
3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787
2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565
1 '설겆이'에서 '설겆'은 무엇일까? 風磬 2006.09.07 56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