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321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곶감'에 얽힌 이야기는 무척 많습니다. 호랑이가 자기보다도 무서운  것으로 알았다는  이야기로부터 시작해서 말입니다. 그리고 속담도 많지요.  '곶감이 접반이라도 입이 쓰다'(마음이 언짢아서 입맛이 쓸 때), '곶감 꼬치에서  곶감 빼 먹듯'(알뜰히 모아 둔 것을 힘들이지 않고 하나씩 빼어 먹어  없앤다는 뜻), '곶 감 죽을 먹고 엿목판에 엎드러졌다'(연달아 좋은  수가 생겼다는 뜻)  '곶감 죽을 쑤어 먹었나'(왜  웃느냐고 핀잔 주는 말) '당장  먹기엔 곶감이 달다' 등등.

   이 '곶감'의 '감'은 물론 과일의 하나인 '감'이지요.  그리고 '곶'은 '곶다'의 어간 '곶-'입니다. '곶다'는 현대국어에서는 된소리가 되어 '꽂다'로 되었지요. 그래서  일부 방언에서는 '꽂감'이라고도 하지요. 그러니까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을 말합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379
20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377
19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373
18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371
17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369
16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369
15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366
14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364
13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358
12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강과 삶 바람의종 2009.10.02 3349
11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347
10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298
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바람의종 2009.12.01 3289
8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3285
7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279
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3276
5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265
4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252
3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252
2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228
1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31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