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41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곶감'에 얽힌 이야기는 무척 많습니다. 호랑이가 자기보다도 무서운  것으로 알았다는  이야기로부터 시작해서 말입니다. 그리고 속담도 많지요.  '곶감이 접반이라도 입이 쓰다'(마음이 언짢아서 입맛이 쓸 때), '곶감 꼬치에서  곶감 빼 먹듯'(알뜰히 모아 둔 것을 힘들이지 않고 하나씩 빼어 먹어  없앤다는 뜻), '곶 감 죽을 먹고 엿목판에 엎드러졌다'(연달아 좋은  수가 생겼다는 뜻)  '곶감 죽을 쑤어 먹었나'(왜  웃느냐고 핀잔 주는 말) '당장  먹기엔 곶감이 달다' 등등.

   이 '곶감'의 '감'은 물론 과일의 하나인 '감'이지요.  그리고 '곶'은 '곶다'의 어간 '곶-'입니다. '곶다'는 현대국어에서는 된소리가 되어 '꽂다'로 되었지요. 그래서  일부 방언에서는 '꽂감'이라고도 하지요. 그러니까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을 말합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3984
27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212
269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239
268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127
267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227
266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3890
265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3848
264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4921
263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732
262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風磬 2006.12.08 4879
261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01
260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324
259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652
258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784
257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788
256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바람의종 2008.04.13 4314
255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바람의종 2008.04.10 4218
254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094
25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002
252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026
25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風磬 2006.11.08 3904
250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09.07 5365
24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09
24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082
247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4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