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59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마땅하다'는 "잘 어울리다, 알맞다,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 따위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고, 또 그 어감이 꼭 우리 고유어인 것처럼 생각 되어서, 이 단어에 한자가 있다고 한다면,  도무지 믿을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마'가 한자일까?  '땅'이 한자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 말과 그 표기법이 큰 변화를 겪어  왔기 때문에 수긍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다음의 예들에 대한 설명을 들어 보시면 수긍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마땅하다'는 원래 '맛당하다'로 또는 '맛당하다'로 표기되었습니다.  이것은 '맞다'의 어간 '맞-'에다가 이 '맞다'와 같은 뜻을 가진 한자 '당(마땅 당)'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말입니다. 우리 고유어에다가 같은 뜻을 가진 한자를 붙여서 만든 단어이지요. 이처럼 우리 고유어에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꽤나 있습니다. '굳건하다, 튼실하다, 익숙하다'등이 그러한 예들입니다. '굳건하다'는  고유어인 '굳다'의 어간 '굳-'에 한자 '건'(굳셀 건)이 합쳐진 단어이고요, '튼실하다'는  '튼튼하다'의 '튼'에 한자 '실'(열매 실)이 합쳐 져서 된 말이지요. 그리고 '익숙하다'도 '익다'의 '익-'에 한자 '숙'(익을 숙)이 합쳐진 말입니다.

  이렇게 고유어에 고유어가 뜻을 같이 하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를 우리는 동의 중복으로 된 복합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늘 사용하는 단어를 보면 한자어와 고유어를 합쳐서 쓰는 말이 무척이나 많습니다. 우리가 보통 드는 예는 '처가집, 역전앞, 무궁화꽃'등 정도의 예를 들고 있습니다만, 실상은 그 이상입니다. 그 예가 무척 많음에 놀라실 것입니다. 다음에 그 일례들만 들어 보이도록 할 테니까, 하나하나 잘 분석해  보세요. 같은 뜻을 가진 한자와 고유어가 어떻게 섞여 있는지를요.

  담장            바람벽         어떤 일미인       두견접동
  장림숲          학두루미       옷칠              모래사장
  손수건          속내의         새신랑            긴 장대
  큰 대문         어린 소녀      젊은 청년         늙은 노인
  빈 공간         넓은 광장      같은 동갑         허연 백발
  누런 황금       배우는 학도    둘로 양분하다     미리 예습하다
  다시 재혼하다   서로 상의하다  스스로 자각하다   배에 승선하다
  자리에 착석하다 분가루         일전 한푼         자식새끼
  외가집          면도칼         고목나무          진화되다
  소급해 올라가다 유언을 남기다  상용하여 써 온다 피해를 입는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2/3) 바람의종 2009.07.07 4040
120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043
119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4067
118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097
117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110
116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바람의종 2009.06.29 4112
115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風磬 2006.12.25 4117
114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126
113 '가게'는 널판지로 만든 시렁에 물건을 진열하여 놓고 파는 곳 風磬 2006.12.18 4127
112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129
11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한강의 뿌리, 우통수(于筒水) 바람의종 2009.07.15 4142
110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風磬 2006.10.11 4152
109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161
108 '감기'는 옛날에 '고뿔'이라고 불렀습니다. 곧 '코에 불(열)이 난다는 뜻 風磬 2006.12.14 4170
107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4175
106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4179
105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182
104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191
103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風磬 2006.11.17 4191
102 '곰보'는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 風磬 2007.01.14 4198
101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風磬 2006.12.11 4205
100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風磬 2006.12.05 4207
99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225
98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40
97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風磬 2006.11.30 42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