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65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마땅하다'는 "잘 어울리다, 알맞다,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 따위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고, 또 그 어감이 꼭 우리 고유어인 것처럼 생각 되어서, 이 단어에 한자가 있다고 한다면,  도무지 믿을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마'가 한자일까?  '땅'이 한자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 말과 그 표기법이 큰 변화를 겪어  왔기 때문에 수긍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다음의 예들에 대한 설명을 들어 보시면 수긍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마땅하다'는 원래 '맛당하다'로 또는 '맛당하다'로 표기되었습니다.  이것은 '맞다'의 어간 '맞-'에다가 이 '맞다'와 같은 뜻을 가진 한자 '당(마땅 당)'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말입니다. 우리 고유어에다가 같은 뜻을 가진 한자를 붙여서 만든 단어이지요. 이처럼 우리 고유어에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꽤나 있습니다. '굳건하다, 튼실하다, 익숙하다'등이 그러한 예들입니다. '굳건하다'는  고유어인 '굳다'의 어간 '굳-'에 한자 '건'(굳셀 건)이 합쳐진 단어이고요, '튼실하다'는  '튼튼하다'의 '튼'에 한자 '실'(열매 실)이 합쳐 져서 된 말이지요. 그리고 '익숙하다'도 '익다'의 '익-'에 한자 '숙'(익을 숙)이 합쳐진 말입니다.

  이렇게 고유어에 고유어가 뜻을 같이 하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를 우리는 동의 중복으로 된 복합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늘 사용하는 단어를 보면 한자어와 고유어를 합쳐서 쓰는 말이 무척이나 많습니다. 우리가 보통 드는 예는 '처가집, 역전앞, 무궁화꽃'등 정도의 예를 들고 있습니다만, 실상은 그 이상입니다. 그 예가 무척 많음에 놀라실 것입니다. 다음에 그 일례들만 들어 보이도록 할 테니까, 하나하나 잘 분석해  보세요. 같은 뜻을 가진 한자와 고유어가 어떻게 섞여 있는지를요.

  담장            바람벽         어떤 일미인       두견접동
  장림숲          학두루미       옷칠              모래사장
  손수건          속내의         새신랑            긴 장대
  큰 대문         어린 소녀      젊은 청년         늙은 노인
  빈 공간         넓은 광장      같은 동갑         허연 백발
  누런 황금       배우는 학도    둘로 양분하다     미리 예습하다
  다시 재혼하다   서로 상의하다  스스로 자각하다   배에 승선하다
  자리에 착석하다 분가루         일전 한푼         자식새끼
  외가집          면도칼         고목나무          진화되다
  소급해 올라가다 유언을 남기다  상용하여 써 온다 피해를 입는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3699
    Read More
  2.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Date2008.04.21 By바람의종 Views3696
    Read More
  3.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낙동강과 가야

    Date2009.07.13 By바람의종 Views3690
    Read More
  4. 우리말의 상상력- 3. 밥이 하늘

    Date2010.02.12 By바람의종 Views3684
    Read More
  5.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3678
    Read More
  6.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Date2006.12.19 By風磬 Views3671
    Read More
  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스승은 거룩한 교황

    Date2009.10.28 By바람의종 Views3669
    Read More
  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옛 조선의 맥, 춘천

    Date2009.11.03 By바람의종 Views3662
    Read More
  9.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Date2008.07.21 By바람의종 Views3659
    Read More
  10.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Date2007.01.24 By바람의종 Views3658
    Read More
  1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금강(錦江), 그 영원한 어머니

    Date2009.07.10 By바람의종 Views3645
    Read More
  12.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2/2)

    Date2009.05.26 By바람의종 Views3641
    Read More
  13.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Date2009.05.04 By바람의종 Views3640
    Read More
  14.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Date2006.10.19 By風磬 Views3635
    Read More
  15.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Date2008.03.28 By바람의종 Views3627
    Read More
  16.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1/2)

    Date2009.05.31 By바람의종 Views3625
    Read More
  1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임과 해우러름

    Date2009.10.27 By바람의종 Views3617
    Read More
  18.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Date2006.12.20 By風磬 Views3616
    Read More
  19.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Date2006.12.30 By風磬 Views3604
    Read More
  2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말 달리던 선구자

    Date2010.01.09 By바람의종 Views3600
    Read More
  21.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3596
    Read More
  22.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Date2006.12.15 By風磬 Views3595
    Read More
  23.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Date2008.03.25 By바람의종 Views3586
    Read More
  24. 우리말의 상상력 1 - 7. 아이와 알

    Date2009.05.30 By바람의종 Views3583
    Read More
  25.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Date2008.08.08 By바람의종 Views357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