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63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마땅하다'는 "잘 어울리다, 알맞다,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 따위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고, 또 그 어감이 꼭 우리 고유어인 것처럼 생각 되어서, 이 단어에 한자가 있다고 한다면,  도무지 믿을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마'가 한자일까?  '땅'이 한자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 말과 그 표기법이 큰 변화를 겪어  왔기 때문에 수긍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다음의 예들에 대한 설명을 들어 보시면 수긍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마땅하다'는 원래 '맛당하다'로 또는 '맛당하다'로 표기되었습니다.  이것은 '맞다'의 어간 '맞-'에다가 이 '맞다'와 같은 뜻을 가진 한자 '당(마땅 당)'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말입니다. 우리 고유어에다가 같은 뜻을 가진 한자를 붙여서 만든 단어이지요. 이처럼 우리 고유어에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꽤나 있습니다. '굳건하다, 튼실하다, 익숙하다'등이 그러한 예들입니다. '굳건하다'는  고유어인 '굳다'의 어간 '굳-'에 한자 '건'(굳셀 건)이 합쳐진 단어이고요, '튼실하다'는  '튼튼하다'의 '튼'에 한자 '실'(열매 실)이 합쳐 져서 된 말이지요. 그리고 '익숙하다'도 '익다'의 '익-'에 한자 '숙'(익을 숙)이 합쳐진 말입니다.

  이렇게 고유어에 고유어가 뜻을 같이 하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를 우리는 동의 중복으로 된 복합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늘 사용하는 단어를 보면 한자어와 고유어를 합쳐서 쓰는 말이 무척이나 많습니다. 우리가 보통 드는 예는 '처가집, 역전앞, 무궁화꽃'등 정도의 예를 들고 있습니다만, 실상은 그 이상입니다. 그 예가 무척 많음에 놀라실 것입니다. 다음에 그 일례들만 들어 보이도록 할 테니까, 하나하나 잘 분석해  보세요. 같은 뜻을 가진 한자와 고유어가 어떻게 섞여 있는지를요.

  담장            바람벽         어떤 일미인       두견접동
  장림숲          학두루미       옷칠              모래사장
  손수건          속내의         새신랑            긴 장대
  큰 대문         어린 소녀      젊은 청년         늙은 노인
  빈 공간         넓은 광장      같은 동갑         허연 백발
  누런 황금       배우는 학도    둘로 양분하다     미리 예습하다
  다시 재혼하다   서로 상의하다  스스로 자각하다   배에 승선하다
  자리에 착석하다 분가루         일전 한푼         자식새끼
  외가집          면도칼         고목나무          진화되다
  소급해 올라가다 유언을 남기다  상용하여 써 온다 피해를 입는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2/3) 바람의종 2009.07.07 4068
120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073
119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4087
118 '곰'과 '팡이'의 어원을 아셔요? 風磬 2006.10.21 4114
117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바람의종 2008.04.09 4116
116 '가게'는 널판지로 만든 시렁에 물건을 진열하여 놓고 파는 곳 風磬 2006.12.18 4133
115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139
114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142
113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風磬 2006.12.25 4143
112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바람의종 2009.06.29 4145
11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한강의 뿌리, 우통수(于筒水) 바람의종 2009.07.15 4168
110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176
109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4188
108 '감기'는 옛날에 '고뿔'이라고 불렀습니다. 곧 '코에 불(열)이 난다는 뜻 風磬 2006.12.14 4190
107 22. '온갖'은 '수적으로 전부의 종류'란 뜻 風磬 2006.10.11 4199
106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203
105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204
104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4213
103 "똥뀐 녀석이 성낸다"는 말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風磬 2006.11.17 4217
102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風磬 2006.12.11 4219
101 '곰보'는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 風磬 2007.01.14 4219
100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風磬 2006.12.05 4221
99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249
98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253
97 '사꾸라'는 일본어...말고기를 뜻합니다 風磬 2006.11.29 42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