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3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마땅하다'는 "잘 어울리다, 알맞다,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 따위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고, 또 그 어감이 꼭 우리 고유어인 것처럼 생각 되어서, 이 단어에 한자가 있다고 한다면,  도무지 믿을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마'가 한자일까?  '땅'이 한자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 말과 그 표기법이 큰 변화를 겪어  왔기 때문에 수긍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다음의 예들에 대한 설명을 들어 보시면 수긍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마땅하다'는 원래 '맛당하다'로 또는 '맛당하다'로 표기되었습니다.  이것은 '맞다'의 어간 '맞-'에다가 이 '맞다'와 같은 뜻을 가진 한자 '당(마땅 당)'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말입니다. 우리 고유어에다가 같은 뜻을 가진 한자를 붙여서 만든 단어이지요. 이처럼 우리 고유어에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꽤나 있습니다. '굳건하다, 튼실하다, 익숙하다'등이 그러한 예들입니다. '굳건하다'는  고유어인 '굳다'의 어간 '굳-'에 한자 '건'(굳셀 건)이 합쳐진 단어이고요, '튼실하다'는  '튼튼하다'의 '튼'에 한자 '실'(열매 실)이 합쳐 져서 된 말이지요. 그리고 '익숙하다'도 '익다'의 '익-'에 한자 '숙'(익을 숙)이 합쳐진 말입니다.

  이렇게 고유어에 고유어가 뜻을 같이 하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를 우리는 동의 중복으로 된 복합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늘 사용하는 단어를 보면 한자어와 고유어를 합쳐서 쓰는 말이 무척이나 많습니다. 우리가 보통 드는 예는 '처가집, 역전앞, 무궁화꽃'등 정도의 예를 들고 있습니다만, 실상은 그 이상입니다. 그 예가 무척 많음에 놀라실 것입니다. 다음에 그 일례들만 들어 보이도록 할 테니까, 하나하나 잘 분석해  보세요. 같은 뜻을 가진 한자와 고유어가 어떻게 섞여 있는지를요.

  담장            바람벽         어떤 일미인       두견접동
  장림숲          학두루미       옷칠              모래사장
  손수건          속내의         새신랑            긴 장대
  큰 대문         어린 소녀      젊은 청년         늙은 노인
  빈 공간         넓은 광장      같은 동갑         허연 백발
  누런 황금       배우는 학도    둘로 양분하다     미리 예습하다
  다시 재혼하다   서로 상의하다  스스로 자각하다   배에 승선하다
  자리에 착석하다 분가루         일전 한푼         자식새끼
  외가집          면도칼         고목나무          진화되다
  소급해 올라가다 유언을 남기다  상용하여 써 온다 피해를 입는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No Image 08Nov
    by 바람의종
    2009/11/08 by 바람의종
    Views 377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조선의 소리 보람

  2. No Image 22Jun
    by 바람의종
    2008/06/22 by 바람의종
    Views 3755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3. No Image 04May
    by 바람의종
    2009/05/04 by 바람의종
    Views 3745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4. No Image 13Jul
    by 바람의종
    2009/07/13 by 바람의종
    Views 374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낙동강과 가야

  5. No Image 15Feb
    by 바람의종
    2010/02/15 by 바람의종
    Views 3742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6. No Image 28Oct
    by 바람의종
    2009/10/28 by 바람의종
    Views 374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스승은 거룩한 교황

  7. No Image 21Apr
    by 바람의종
    2008/04/21 by 바람의종
    Views 3739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8. No Image 03Nov
    by 바람의종
    2009/11/03 by 바람의종
    Views 373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옛 조선의 맥, 춘천

  9. No Image 24Jan
    by 바람의종
    2007/01/24 by 바람의종
    Views 3736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10. No Image 19Dec
    by 風磬
    2006/12/19 by 風磬
    Views 3724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11. No Image 21Jul
    by 바람의종
    2008/07/21 by 바람의종
    Views 3716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12. No Image 19Oct
    by 風磬
    2006/10/19 by 風磬
    Views 3706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13. No Image 27Oct
    by 바람의종
    2009/10/27 by 바람의종
    Views 370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임과 해우러름

  14.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09/07/10 by 바람의종
    Views 3699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금강(錦江), 그 영원한 어머니

  15. No Image 28Mar
    by 바람의종
    2008/03/28 by 바람의종
    Views 3697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16. No Image 20Dec
    by 風磬
    2006/12/20 by 風磬
    Views 3695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17. No Image 30Dec
    by 風磬
    2006/12/30 by 風磬
    Views 3695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18.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9/05/31 by 바람의종
    Views 3695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1/2)

  19. No Image 26May
    by 바람의종
    2009/05/26 by 바람의종
    Views 3691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2/2)

  20. No Image 15Dec
    by 風磬
    2006/12/15 by 風磬
    Views 3675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21. No Image 09Jan
    by 바람의종
    2010/01/09 by 바람의종
    Views 366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말 달리던 선구자

  22. No Image 30May
    by 바람의종
    2009/05/30 by 바람의종
    Views 3661 

    우리말의 상상력 1 - 7. 아이와 알

  23. No Image 06May
    by 바람의종
    2008/05/06 by 바람의종
    Views 3653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24. No Image 14Dec
    by 바람의종
    2009/12/14 by 바람의종
    Views 365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치악의 말미암음

  25. No Image 25Mar
    by 바람의종
    2008/03/25 by 바람의종
    Views 3648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