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46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피곤하다'는 뜻으로 곧잘 '지치다'란 말을 쓰지요. 그런데 이 '지치다'란 말은 원래의  뜻이 '설사하다'란 것이었습니다. 설사하는 행위의 결과로 신체에 나타나는 상태를 '지치다'로 하니까, 자연히 '피곤하다'는 의미로 바뀌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설사하다'로 쓰이던 '즈다'가자리잡게 된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훈몽자회에도 지칠 설, 지칠 사로 되어 있습니다.(이것은 현대의 표기법으로 바꾸어 쓴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476
170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825
169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258
168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393
167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460
166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354
165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301
164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352
163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791
162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76
161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974
160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424
159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85
158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727
157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4054
156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74
155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98
154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354
153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354
152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77
151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바람의종 2008.04.25 4035
150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267
149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353
148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253
147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3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