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47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피곤하다'는 뜻으로 곧잘 '지치다'란 말을 쓰지요. 그런데 이 '지치다'란 말은 원래의  뜻이 '설사하다'란 것이었습니다. 설사하는 행위의 결과로 신체에 나타나는 상태를 '지치다'로 하니까, 자연히 '피곤하다'는 의미로 바뀌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설사하다'로 쓰이던 '즈다'가자리잡게 된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훈몽자회에도 지칠 설, 지칠 사로 되어 있습니다.(이것은 현대의 표기법으로 바꾸어 쓴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바람의종 2010.01.26 3771
170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773
169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780
168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804
16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812
166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814
165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817
16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바람의종 2009.07.14 3819
16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바람의종 2009.10.06 3828
162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832
161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834
160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836
159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風磬 2006.12.31 3837
158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839
157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850
156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861
155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風磬 2006.12.29 3872
154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872
153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80
152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바람의종 2009.05.25 3886
15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904
150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바람의종 2008.05.08 3913
149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바람의종 2010.02.09 3922
148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929
147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風磬 2006.12.27 39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