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87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사람', '삶' '살림'이 모두 '살다'에서 온 것과 마찬가지로, '노래' '놀이' '노름'도 한 가지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즉  '놀다'의 어간 '놀-'에서 온 말입니다.

   각각 '놀- + -애', '놀- +   -이',  '놀- + -음'으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지요? 우리들에게는 '노래, 놀이, 노름'이 전혀 다른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요. '놀이'는 그럴 듯한데, '노래'나 '노름'이 '놀다'에서 나왔다는 인식은 들지 않지요. 그런 생각이 드는 단어일수록 대개는 그 단어가 만들어진 역사가  오랜 것들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324
245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344
244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694
243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476
242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326
241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776
240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4095
239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5187
238 우리말의 상상력2 - 4. 먼 눈 뜨기와 천수관음(千手觀音) 바람의종 2010.03.09 9258
237 우리말의 상상력2 - 4. 마음의 귀, 처용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2 9878
236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돌아 간 누이를 위한 노래, 제망매가 바람의종 2010.03.07 9209
235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도솔가의 뒤안 바람의종 2010.03.05 9307
234 우리말의 상상력2 - 4. 길 쓸 별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4 8829
233 우리말의 상상력2 - 4. 고리모양의 어우름, 한라산 바람의종 2010.03.10 10112
232 우리말의 상상력2 - 4. 경덕왕과 찬기파랑가 바람의종 2010.03.06 9592
231 우리말의 상상력- 4. 원왕생(願往生)의 그리움 바람의종 2010.03.03 10663
230 우리말의 상상력- 4. 원망(怨望)의 노래와 잣나무 바람의종 2010.03.08 10093
229 우리말의 상상력- 4. 금란굴과 지모신(地母神) 바람의종 2010.02.28 10544
228 우리말의 상상력- 3. 집과 수풀 바람의종 2010.02.21 5337
227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바람의종 2010.02.23 4667
226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바람의종 2010.02.15 3647
225 우리말의 상상력- 3. 밥이 하늘 바람의종 2010.02.12 3654
224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3198
223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바람의종 2010.02.09 3854
222 우리말의 상상력- 3. 금 캐는 마동(薯童) 바람의종 2010.02.22 50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