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6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사람', '삶' '살림'이 모두 '살다'에서 온 것과 마찬가지로, '노래' '놀이' '노름'도 한 가지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즉  '놀다'의 어간 '놀-'에서 온 말입니다.

   각각 '놀- + -애', '놀- +   -이',  '놀- + -음'으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지요? 우리들에게는 '노래, 놀이, 노름'이 전혀 다른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요. '놀이'는 그럴 듯한데, '노래'나 '노름'이 '놀다'에서 나왔다는 인식은 들지 않지요. 그런 생각이 드는 단어일수록 대개는 그 단어가 만들어진 역사가  오랜 것들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바람의종 2008.04.16 4752
145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216
144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바람의종 2008.04.20 3850
143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490
142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175
141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315
140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059
139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바람의종 2008.03.29 3936
138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257
13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659
136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風磬 2006.10.27 4306
135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2994
134 서울의 어원 바람의종 2009.08.01 3922
133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478
132 섬유회사 '코오롱'은 '코리아'+'나이롱' 風磬 2006.11.28 4474
131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바람의종 2007.01.26 4423
130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445
129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521
128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720
127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644
126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1.15 4477
125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279
124 애국가 가사 중의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 風磬 2007.01.15 4363
123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風磬 2007.01.16 4260
122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6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