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6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지아비'와 '지어미'는 특히 한자의 석과 음에서 널리 알려져 있지요. 즉 '부'를 '지아비 부', 그리고 '부'를 '지어미 부'로 알고 있는데, 이때에 '아비, 어미'는 그 뜻을 알겠는데, '지'의 뜻은 알 길이 없어졌지요.
  원래 '집'의 소유격형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었습니다. 즉 '한 것입니다. 그래서 15세기의 문헌에 보면 '짓아비, 짓어미'였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19세기 말에 와서 '짓'의 '지아비, 지어미'가 되었습니다. 그러니, '지아비, 지어미'는 원래의 뜻은 '집아비, 집어미'인 셈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682
170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684
169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700
16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바람의종 2009.07.14 3701
167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706
166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713
165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717
164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730
16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바람의종 2009.10.06 3732
162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733
161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風磬 2006.12.31 3734
160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736
159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바람의종 2009.05.25 3739
158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744
157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744
156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風磬 2006.12.29 3751
155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755
154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767
153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779
152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風磬 2006.10.18 3794
15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06
150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14
149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821
148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바람의종 2008.05.08 3822
147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바람의종 2010.02.09 38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