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우리는 보통 '노들강변'이라고 하면 버드나무가 휘휘 늘어진 어느 강변을 연상하지 않습니까? '노들강변 봄버들 휘휘 늘어진 가지에'의 민요가 그러한 인상을 주게 하지요. 아마도 '노들'이 '버들'을 연상시키나 봅니다. 그래서 어느 곳이든 이러한  풍경이 있는 강변이면 '노들강변'으로 생각하기 쉽지요.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노들강변'은 보통명사가 아니라 고유명사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노들강변'은 서울의 '노량진' 나루터를 말합니다.

  현재 서울의 흑석동에 있는 국립묘지 근처에 있던 나루터를 말합니다. 왜 그러냐구요?  다음 설명을 보시지요. 여러분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왜적과 싸우시던 '울돌목'을 아시겠지요? 이 '울돌목'은 한자어로 '명량(울명,돌 량)'이라 고 하지요. 이 '명량'의 '명'은 '울 명'자이고요. '량'은 원래 '돌 량'입니다. 이 '돌'은 충청도 방언에 '똘,  또랑'으로도 사용하고 있지요.

  '노량'의 '량'도 '돌 량'입니다. 그래서 '노량(이슬 노, 돌 량)'은 '노돌'이라고 했지요. 그러던 것이 '노들'로 변화를 했습니다. 그래서 '노량'이 '노들'로 변하고 거기에 '강변'이 덧붙은 것입니다.  이 '노들강변'은 옛날에 서울과 남쪽 지방을 잇는 중요한 나루였습니다. 그래서 이 '노들강변'은 애환이 많이 깃들여 있던 곳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학독'이란 단어의 뜻을 아십니까? 風磬 2006.11.10 4522
»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風磬 2007.01.18 4559
69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風磬 2006.12.13 4570
68 "구실을 삼다"와 "사람 구실을 못한다"에서 風磬 2006.10.25 4579
67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바람의종 2009.06.30 4603
66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바람의종 2010.02.23 4607
65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614
64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風磬 2007.01.11 4626
63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風磬 2006.11.19 4632
62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640
6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642
60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655
59 17. '닭의알'-->'닭이알'-->'달걀'......'달걀'은 토박이말 風磬 2006.10.06 4657
58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662
57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690
56 16. '무지개'는 '물'로 된 '문'이라는 뜻 風磬 2006.10.05 4705
55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708
54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709
53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727
52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751
51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758
50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바람의종 2008.04.16 4771
49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風磬 2006.12.10 4779
48 8. '보배'의 '배'는 한자음으로 '패'...즉 '조개 패'를 말합니다 風磬 2006.09.27 4783
47 '곧다'와 '굳다'에서 나온 '꼿꼿하다'와 '꿋꿋하다' 風磬 2006.10.22 47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