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439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애국가 가사 중의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

  애국가 중의 또 한 가지 '남산'의 의미를 모르는 분이 무척 많습니다. 어느 고장을 가나 '남산'은 있습니다. 서울의 남산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제가 살고 있는 천안에도 남산은 있습니다. 이 '남산'은 '남쪽에 있는 산'으로 알고 계신 분이 많습니다. 그러나  '남'은 한자로 지금은  '남쪽'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원래 '남'은 '앞 남'이었습니다. 즉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입니다. '앞에 있는 산'이 곧 '남산'입니다. 그리고 '북'은 '뒤 북'이었었습니다. 그래서 '북망산'에 간다는 것은 '뒷산'의 묘지로 가는 것을 말합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風磬 2006.11.15 4542
145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700
144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784
143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603
142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567
141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바람의종 2007.01.26 4514
140 섬유회사 '코오롱'은 '코리아'+'나이롱' 風磬 2006.11.28 4513
139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550
138 서울의 어원 바람의종 2009.08.01 3970
137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3092
136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風磬 2006.10.27 4401
135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753
134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338
13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바람의종 2008.03.29 4025
132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201
131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427
130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294
129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579
128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바람의종 2008.04.20 3935
127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296
126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바람의종 2008.04.16 4818
125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333
124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216
123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303
122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2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