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36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애국가 가사 중의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

  애국가 중의 또 한 가지 '남산'의 의미를 모르는 분이 무척 많습니다. 어느 고장을 가나 '남산'은 있습니다. 서울의 남산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제가 살고 있는 천안에도 남산은 있습니다. 이 '남산'은 '남쪽에 있는 산'으로 알고 계신 분이 많습니다. 그러나  '남'은 한자로 지금은  '남쪽'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원래 '남'은 '앞 남'이었습니다. 즉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입니다. '앞에 있는 산'이 곧 '남산'입니다. 그리고 '북'은 '뒤 북'이었었습니다. 그래서 '북망산'에 간다는 것은 '뒷산'의 묘지로 가는 것을 말합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620
170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421
169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764
168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바람의종 2007.01.23 4294
167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546
166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4131
165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바람의종 2007.01.26 4423
164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695
163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5116
162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4040
161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582
16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4193
159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4182
158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330
15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659
156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490
155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697
154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521
15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바람의종 2008.03.29 3940
15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263
151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3253
150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273
149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257
148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772
14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4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