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33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곰보'는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

  마마에 걸려서 얼굴이 얽은 사람이 있지요? 지금은 천연두가 사라져서 그런 사람을 발견할 수가 없습니다만, 그런 분을 속칭 '곰보'라고 하는데, 이것은 '곪다'의 '곪-'에 접미사 '-보'가 붙어서 된 말입니다. 그래서 그 어원을 잊어  버리고 그냥 '곰보'라고 하고 있습니다. '곪-'의 발음이  '곰'이 되니까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914
120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900
119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바람의종 2009.05.25 3890
118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風磬 2006.12.29 3887
117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882
116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875
115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868
114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861
113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風磬 2006.12.31 3861
112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853
111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851
110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842
109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838
108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836
10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바람의종 2009.07.14 3829
106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828
10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바람의종 2009.10.06 3828
104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808
103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789
10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789
101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787
100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786
99 우리말의 상상력- 3. 밥이 하늘 바람의종 2010.02.12 3780
98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776
9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바람의종 2010.01.26 37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