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3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물치'는 '검은 고기'라는 뜻

  물고기 중에 '가물치'가 있지요? 이 중에 '-치'는 물고기 이름을 나타내는 접미사임은 누구나 다 아실 것입니다. '꽁치, 넙치, 준치, 멸치' 등등 많습니다. 그런데 '가물'이란 무엇일까요?

  천자문을 배울 때, '하늘 천, 따 지, 가물 현' 하지요. 물론 지금은 '검을 현'이라고도 합니다. '가물'은 오늘날의 '검을'에 해당합니다. 옛날엔 '검다'를 '감다'라고 했었으니까요. 그래서 '가물치'는 '감-+ -을 + -치'로 구성되어 있지요. 결국 '검은 고기'란 뜻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참꽃'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진달래꽃 風磬 2006.11.21 4414
70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風磬 2006.11.01 3914
69 '집사람'은 본래 '가족'이란 뜻 風磬 2006.11.19 4632
68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바람의종 2007.01.23 4321
67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647
66 '지붕'은 '집'의 '위'란 뜻 風磬 2006.10.28 4489
65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719
64 '장아찌'의 어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風磬 2006.10.31 4761
63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風磬 2006.09.07 4711
62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風磬 2006.12.20 3508
61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風磬 2006.12.19 3603
60 '우두머리'는 옛날에는 비칭이 아니라 평칭이었습니다. 風磬 2006.12.05 4198
59 '옛날 옛적 고리짝에'는 '옛날 옛적 고려 적에'의 뜻 風磬 2006.12.13 4573
58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749
57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434
56 '양치질'은 양지(버드나무 가지)에 접미사 '질'이 붙은 것 風磬 2006.12.10 4779
55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風磬 2006.12.11 4195
54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風磬 2006.11.09 3931
53 '아깝다'와 '아끼다'는 연관된 단어 風磬 2006.10.26 4382
52 '씨름'은 옛말 '힐후다'에서 나온 말 風磬 2006.09.07 4713
51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風磬 2007.01.02 3366
50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風磬 2006.12.27 3821
49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642
48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648
47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風磬 2006.11.11 45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