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906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요즈음은 여성들이 '귀'에 '고리'를 '걸고' 다니는 것을 많이 보지요. 그래서 곧잘 '귀고리'를 '귀'에 '거는' 것으로 인식을 해서 '귀걸이' 또는 '귀거리'로 인식하는 분이 많습니다. 그러나 '귀고리'는 원래 '귀'에 거는 '고리'라는 뜻입니다. '귀'에 '거는' '골희'여서 '귀옛골희'였었다가,  20세기에 들어서야 '귀고리' 또는 '귀골희'가 되었다가 요즈음은 '귀고리'로 변했습니다.

  최근에 정한 표준말에서도 '귀고리'로 결정되었습니다. 귀에 '거는' 것이 아니라 귀에 거는 '고리'라는 뜻입니다.  요즈음은 '귀고리'가  '고리'가 아닌 다른 모양들도 많더군요. 그래서 아마 '귀고리'를 '귀거리'로 이해하시는 것 같군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횡성, 금호

    Date2009.09.27 By바람의종 Views3956
    Read More
  2.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Date2008.05.12 By바람의종 Views3949
    Read More
  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3940
    Read More
  4.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Date2006.11.02 By風磬 Views3938
    Read More
  5.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3932
    Read More
  6. 서울의 어원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3925
    Read More
  7.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Date2006.10.20 By風磬 Views3923
    Read More
  8.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Date2006.11.09 By風磬 Views3911
    Read More
  9.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Date2007.01.10 By風磬 Views3906
    Read More
  10.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Date2006.11.01 By風磬 Views3889
    Read More
  11.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Date2006.11.08 By風磬 Views3886
    Read More
  12.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Date2006.10.24 By風磬 Views3882
    Read More
  13.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Date2008.09.25 By바람의종 Views3881
    Read More
  1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압록강과 오리

    Date2009.07.12 By바람의종 Views3878
    Read More
  15.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Date2008.09.19 By바람의종 Views3855
    Read More
  16.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Date2008.04.20 By바람의종 Views3850
    Read More
  17.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Date2008.08.04 By바람의종 Views3829
    Read More
  18.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Date2010.02.09 By바람의종 Views3808
    Read More
  19.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Date2006.11.04 By風磬 Views3807
    Read More
  20.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Date2006.12.27 By風磬 Views3794
    Read More
  21.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Date2009.07.08 By바람의종 Views3793
    Read More
  22.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3777
    Read More
  23.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Date2008.04.03 By바람의종 Views3772
    Read More
  24.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769
    Read More
  25.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Date2007.01.22 By바람의종 Views376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