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22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요즈음은 여성들이 '귀'에 '고리'를 '걸고' 다니는 것을 많이 보지요. 그래서 곧잘 '귀고리'를 '귀'에 '거는' 것으로 인식을 해서 '귀걸이' 또는 '귀거리'로 인식하는 분이 많습니다. 그러나 '귀고리'는 원래 '귀'에 거는 '고리'라는 뜻입니다. '귀'에 '거는' '골희'여서 '귀옛골희'였었다가,  20세기에 들어서야 '귀고리' 또는 '귀골희'가 되었다가 요즈음은 '귀고리'로 변했습니다.

  최근에 정한 표준말에서도 '귀고리'로 결정되었습니다. 귀에 '거는' 것이 아니라 귀에 거는 '고리'라는 뜻입니다.  요즈음은 '귀고리'가  '고리'가 아닌 다른 모양들도 많더군요. 그래서 아마 '귀고리'를 '귀거리'로 이해하시는 것 같군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No Image 20Oct
    by 風磬
    2006/10/20 by 風磬
    Views 4127 

    '곡식 한 말을 수확할 수 있는 땅' --> '한 마지기'

  2. No Image 10Jan
    by 風磬
    2007/01/10 by 風磬
    Views 4122 

    '귀고리'는 귀에 거는 '고리'...'귀거리'는 틀린 말

  3. No Image 19Sep
    by 바람의종
    2008/09/19 by 바람의종
    Views 4099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4. No Image 02Nov
    by 風磬
    2006/11/02 by 風磬
    Views 4086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5. No Image 29Mar
    by 바람의종
    2008/03/29 by 바람의종
    Views 4079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6. No Image 04Aug
    by 바람의종
    2008/08/04 by 바람의종
    Views 4067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7. No Image 25Sep
    by 바람의종
    2008/09/25 by 바람의종
    Views 4065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8. No Image 27Sep
    by 바람의종
    2009/09/27 by 바람의종
    Views 4063 

    우리말의 상상력 2 - 1. 횡성, 금호

  9. No Image 12Jul
    by 바람의종
    2009/07/12 by 바람의종
    Views 4062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압록강과 오리

  10. No Image 12May
    by 바람의종
    2008/05/12 by 바람의종
    Views 4061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11. No Image 08Nov
    by 風磬
    2006/11/08 by 風磬
    Views 4060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12. No Image 25Apr
    by 바람의종
    2008/04/25 by 바람의종
    Views 4042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13. No Image 01Aug
    by 바람의종
    2009/08/01 by 바람의종
    Views 4039 

    서울의 어원

  14. No Image 09Nov
    by 風磬
    2006/11/09 by 風磬
    Views 4032 

    '알타리무'의 표준어는 '총각무'

  15. No Image 24Oct
    by 風磬
    2006/10/24 by 風磬
    Views 4019 

    '값이 싸다'는 원래 '값이 적당하다'는 뜻

  16. No Image 01Nov
    by 風磬
    2006/11/01 by 風磬
    Views 3986 

    '찌개'는 '디히개 > 디이개> 지이개 > 지개 > 찌개'로 변화한 말

  17. No Image 04Nov
    by 風磬
    2006/11/04 by 風磬
    Views 3978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18. No Image 20Apr
    by 바람의종
    2008/04/20 by 바람의종
    Views 3972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19.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8/09/20 by 바람의종
    Views 3967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20. No Image 18Oct
    by 風磬
    2006/10/18 by 風磬
    Views 3953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1. No Image 08Jul
    by 바람의종
    2009/07/08 by 바람의종
    Views 3953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22. No Image 27Dec
    by 風磬
    2006/12/27 by 風磬
    Views 3944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23.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7/01/22 by 바람의종
    Views 3929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24. No Image 09Feb
    by 바람의종
    2010/02/09 by 바람의종
    Views 3924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25. No Image 08May
    by 바람의종
    2008/05/08 by 바람의종
    Views 3915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