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9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스승'의 어원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무격'이란 한자어가 있지요. '무'는 '여자무당'을, '격'은 '남자무당'을 말합니다.그런데 옛 문헌을 보면  '무'를 '스승 무' '격'을 '화랑이 격'이라 되어 있습니다. 결국 '스승'이란 '여자무당'을 말하던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여자무당'은 고대사회의 모계사회에서 대단한 지위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지금도 인디안 영화나 아프리카 영화를 보면 추장보다도 더 높은 지위에 있었던 사람은 제사장입니다. 추장은 제사장에게 모든 것을 상의하지요. 결국 '스승'은 임금의 선생님이었습니다. 그래서 임금님의 선생님을 한자어로는 '사부'라고 하는데, '사'자도 '스승 사', '부' 자도 '스승 부'입니다. 결코 '선생 사, 선생 부'라고 하지 않습니다.
  '여자무당'이 '임금의 선생님'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고, 이것이 오늘날 일반화되어 '스승'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스승'이 '무당'을 가리킨다고 하니까 맞는 말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몸이 아파서 강의실에 들어 가기 싫다가도 강의실에만 들어가면, 마치 무당이 신명이 난 것처럼 신명이 나서 떠들거든요.

  '남자무당'인 '화랑이 격'은 오늘날 '화냥 년'이라는 못된 욕을 할 때 사용하는 말로 변화했습니다. 이 '화랑이 격'의 '화랑'은 신라시대의 '화랑'과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남자 무당'도 고대사회에서는 중요한 귀족 중의 하나였습니다. 신라 향가인 '처용가'에 나오는 '처용'도 '화랑'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 남자무당은 여자무당에 비해 그 위세가 약합니다. 오늘날의 무당의 세계도 일처다부제가 보이기도 할 정도이니까요. 처용이 아내가 다른  남자와 동침하는 것을 보고 물러 나올 수밖에 없었던 것도 알고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는 대목이지요. 그래서 남자무당은 이 여자무당, 저 여자무당을 찾아 다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행실이 좋지 않은 사람을 '화냥이'라고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남자에게 쓰이던 것이 여자에게 사용된 것이지요.

  간혹 '화냥'을 '환향', 즉 '고향으로 돌아오다'라는 는 의미로 해석해서,  청나라에 끌려 갔던 여인들이 몸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 왔다고 해서 붙인 이름인 것처럼 알고 있는 분도 있으나, 그것은 민간인들이 만들어낸 어원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549
70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48
6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치악의 말미암음 바람의종 2009.12.14 3548
68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47
67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546
66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533
65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영산강과 용, 섬진강과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1 3532
64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531
63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527
6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바람의종 2009.10.07 3511
61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508
60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504
59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바람의종 2009.05.17 3504
58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491
57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481
5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480
55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476
54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475
53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469
5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바람의종 2010.01.23 3458
5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두만강과 조선왕조, 대동강과 한겨레 바람의종 2009.07.16 3444
5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바람의종 2010.01.20 3442
49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바람의종 2009.06.12 3437
48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30
4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백마강, 강릉 바람의종 2009.09.21 34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