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87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스승'의 어원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무격'이란 한자어가 있지요. '무'는 '여자무당'을, '격'은 '남자무당'을 말합니다.그런데 옛 문헌을 보면  '무'를 '스승 무' '격'을 '화랑이 격'이라 되어 있습니다. 결국 '스승'이란 '여자무당'을 말하던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여자무당'은 고대사회의 모계사회에서 대단한 지위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지금도 인디안 영화나 아프리카 영화를 보면 추장보다도 더 높은 지위에 있었던 사람은 제사장입니다. 추장은 제사장에게 모든 것을 상의하지요. 결국 '스승'은 임금의 선생님이었습니다. 그래서 임금님의 선생님을 한자어로는 '사부'라고 하는데, '사'자도 '스승 사', '부' 자도 '스승 부'입니다. 결코 '선생 사, 선생 부'라고 하지 않습니다.
  '여자무당'이 '임금의 선생님'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고, 이것이 오늘날 일반화되어 '스승'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스승'이 '무당'을 가리킨다고 하니까 맞는 말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몸이 아파서 강의실에 들어 가기 싫다가도 강의실에만 들어가면, 마치 무당이 신명이 난 것처럼 신명이 나서 떠들거든요.

  '남자무당'인 '화랑이 격'은 오늘날 '화냥 년'이라는 못된 욕을 할 때 사용하는 말로 변화했습니다. 이 '화랑이 격'의 '화랑'은 신라시대의 '화랑'과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남자 무당'도 고대사회에서는 중요한 귀족 중의 하나였습니다. 신라 향가인 '처용가'에 나오는 '처용'도 '화랑'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 남자무당은 여자무당에 비해 그 위세가 약합니다. 오늘날의 무당의 세계도 일처다부제가 보이기도 할 정도이니까요. 처용이 아내가 다른  남자와 동침하는 것을 보고 물러 나올 수밖에 없었던 것도 알고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는 대목이지요. 그래서 남자무당은 이 여자무당, 저 여자무당을 찾아 다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행실이 좋지 않은 사람을 '화냥이'라고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남자에게 쓰이던 것이 여자에게 사용된 것이지요.

  간혹 '화냥'을 '환향', 즉 '고향으로 돌아오다'라는 는 의미로 해석해서,  청나라에 끌려 갔던 여인들이 몸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 왔다고 해서 붙인 이름인 것처럼 알고 있는 분도 있으나, 그것은 민간인들이 만들어낸 어원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916
120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912
119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905
118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바람의종 2009.05.25 3904
117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風磬 2006.12.29 3899
116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890
115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886
»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879
113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風磬 2006.12.31 3871
112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869
111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854
110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845
109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845
10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바람의종 2009.07.14 3842
107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837
10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바람의종 2009.10.06 3832
105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828
104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817
103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810
10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807
101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794
100 우리말의 상상력- 3. 밥이 하늘 바람의종 2010.02.12 3793
99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792
98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784
9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바람의종 2010.01.26 37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