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80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스승'의 어원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무격'이란 한자어가 있지요. '무'는 '여자무당'을, '격'은 '남자무당'을 말합니다.그런데 옛 문헌을 보면  '무'를 '스승 무' '격'을 '화랑이 격'이라 되어 있습니다. 결국 '스승'이란 '여자무당'을 말하던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여자무당'은 고대사회의 모계사회에서 대단한 지위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지금도 인디안 영화나 아프리카 영화를 보면 추장보다도 더 높은 지위에 있었던 사람은 제사장입니다. 추장은 제사장에게 모든 것을 상의하지요. 결국 '스승'은 임금의 선생님이었습니다. 그래서 임금님의 선생님을 한자어로는 '사부'라고 하는데, '사'자도 '스승 사', '부' 자도 '스승 부'입니다. 결코 '선생 사, 선생 부'라고 하지 않습니다.
  '여자무당'이 '임금의 선생님'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고, 이것이 오늘날 일반화되어 '스승'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스승'이 '무당'을 가리킨다고 하니까 맞는 말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몸이 아파서 강의실에 들어 가기 싫다가도 강의실에만 들어가면, 마치 무당이 신명이 난 것처럼 신명이 나서 떠들거든요.

  '남자무당'인 '화랑이 격'은 오늘날 '화냥 년'이라는 못된 욕을 할 때 사용하는 말로 변화했습니다. 이 '화랑이 격'의 '화랑'은 신라시대의 '화랑'과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남자 무당'도 고대사회에서는 중요한 귀족 중의 하나였습니다. 신라 향가인 '처용가'에 나오는 '처용'도 '화랑'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 남자무당은 여자무당에 비해 그 위세가 약합니다. 오늘날의 무당의 세계도 일처다부제가 보이기도 할 정도이니까요. 처용이 아내가 다른  남자와 동침하는 것을 보고 물러 나올 수밖에 없었던 것도 알고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는 대목이지요. 그래서 남자무당은 이 여자무당, 저 여자무당을 찾아 다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행실이 좋지 않은 사람을 '화냥이'라고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남자에게 쓰이던 것이 여자에게 사용된 것이지요.

  간혹 '화냥'을 '환향', 즉 '고향으로 돌아오다'라는 는 의미로 해석해서,  청나라에 끌려 갔던 여인들이 몸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 왔다고 해서 붙인 이름인 것처럼 알고 있는 분도 있으나, 그것은 민간인들이 만들어낸 어원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855
    Read More
  2.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Date2009.05.25 By바람의종 Views3847
    Read More
  3.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Date2008.04.03 By바람의종 Views3840
    Read More
  4.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Date2006.12.29 By風磬 Views3830
    Read More
  5.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Date2008.04.26 By바람의종 Views3810
    Read More
  6.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Date2008.04.28 By바람의종 Views3810
    Read More
  7.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Date2007.01.03 By風磬 Views3809
    Read More
  8.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Date2006.11.13 By風磬 Views3802
    Read More
  9.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Date2007.01.01 By風磬 Views3800
    Read More
  10.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Date2009.05.15 By바람의종 Views3800
    Read More
  11.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Date2006.10.30 By風磬 Views3790
    Read More
  12.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Date2006.12.31 By風磬 Views3788
    Read More
  1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Date2009.10.06 By바람의종 Views3787
    Read More
  14.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Date2008.03.27 By바람의종 Views3784
    Read More
  15.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Date2008.07.24 By바람의종 Views3775
    Read More
  16.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Date2008.03.24 By바람의종 Views3770
    Read More
  17.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Date2006.12.04 By風磬 Views3768
    Read More
  1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Date2009.07.14 By바람의종 Views3768
    Read More
  19.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Date2008.04.27 By바람의종 Views3739
    Read More
  20.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Date2007.01.17 By風磬 Views3730
    Read More
  21.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Date2008.06.02 By바람의종 Views3730
    Read More
  22.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Date2008.04.19 By바람의종 Views3716
    Read More
  2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Date2010.01.26 By바람의종 Views3712
    Read More
  2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조선의 소리 보람

    Date2009.11.08 By바람의종 Views3711
    Read More
  25.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370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