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304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2007년 정해년(丁亥年) 새해가 밝았다. 금년은 열두 띠 중에 '돼지' 해다. 여러 가지 접근 방법이 있겠지만, 언어코드를 통해 돼지를 만나는 것도 꽤나 재미가 있다. 생각보다 심오하면서 흥미있는 행간 코드를 읽을 수 있다.

◆ 돼지 = 원래는 '새끼 돼지'를 일컫던 말이다. 우리말 '아지'는 '새끼'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강아지'(개 아지), '송아지'(소 아지), '망아지'(말 아지) 등에서 이같은 예를 만날 수 있다.

어문학자들에 따르면 개화기 이전까지는 다 큰 돼지는 '돗', '돋', '돝' 정도로 적었다. 반면 새끼 돼지는 '도야지'(돋 아지)로 불렀다. 어떤 이유로 '도야지'가 '다 큰 돼지'(豚)의 뜻을 얻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돼지를 표기하는 한자로는 '豚'(돈)과 '猪'(저)가 있다. 그러나 그 뜻은 다르다. '집돼지'는 '豚', '멧돼지'는 '猪'로 표기되고 있다. 흔히 쓰는 말 '저돌'은 한자식 표현으로 '멧돼지 猪'(저) 자와 '부딛힐 突'(돌) 자를 쓰고 있다. 의역하면 '멧돼지처럼 앞뒤를 가리지 않고 일직선으로 돌진한다'는 뜻이다.

참고로 돼지새끼 할 때의 '새끼'는 '두 다리 사이에서 태어난 것' 정도의 뜻을 지니고 있다. 중세어 '샅기'(샅 기)가 '삿기'를 거쳐 지금의 '새끼'로 변했다. '샅'이 들어갔거나 변형된 말인 '샅바', '샅샅이', '사타구니' 모두는 혈연 관계에 있는 말이다.

이중 '샅샅이'는 두 다리 사이, 즉 사타구니를 뒤지 듯 빈틈없이 살핀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 윷놀이의 '도' = 윷놀이 할 때 얻을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도·개·걸·윷·모 다섯 지다. 이중 '도'는 '돋'에서 온 말로 돼지를 의미하고 있다. 이유는 '도'는 1발, '개'는 2발, '걸'은 3발을 가야 한다는 놀이규칙 때문이다.

이중 '도'가 돼지처럼 발걸음이 가장 느리다. 여기서 '도'라는 말이 나왔다. 반면 '개'는 말 그대로 '犬', '걸'은 '말'(馬)의 의미하고 있다. '윷'은 4개의 윷가락과 관련이 있으나 '모'의 의미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참고로 윷놀이는 보기와 달리 심오한 사상을 담고 있다. 주역학자들에 따르면 쪼개지기 전 두 개의 나무는 '음양', 4개로 쪼개진 윷가락은 '사상'(四象), 그리고 도·개·걸·윷·모는 '오행'(五行)을 의미하고 있다.

이밖에 '윷'이 응용된 말로는 '윷진애비'가 있다. 이는 '내기에 지고도 다시 하자고 자꾸 달려드는 사람'을 일컫는다. 과거 윷놀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었다.

◆ 돌고래 = 앞말 '돌'의 뜻이 바로 와닿지 않고 있다. 우리말 큰사전은 돌고래의 같은 단어로 '강돈'(江豚),'물돼지', '해돈'(海豚)· '해저'(海猪) 등을 적어 놓고 있다.

여기에 정답이 있다. 이때의 '돌'은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돼지의 중세어 '돋'에서 온 말이다. 원래는 '돋고래'였으나 발음하기 좋게 '돌고래'로 변했다.

잘 살펴보면 돌고래는 살이 토실토실한 것이 육지 돼지와 비슷한 몸매를 지니고 있다. 참고로 '하마'를 개화기 때는 '물 뚱뚱이'라고 불렀다.

◆ 삼겹살과 족발 = 돼지를 잡으면 부위별로 삼겹살, 갈매기살, 목심, 갈비, 안심, 등심, 전지, 후지 등을 얻을 수 있다. 이중 삼겹살이라는 단어는 문제가 있는 표현이다.

우리는 넓고 얇은 물건이 포개져 있는 것을 셀 때 '겹'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가령 '한 겹', '두 겹', '세 겹' 정도가 된다. 이것의 반대는 '홑'이다.

이같은 논리대로라면 '삼겹살'은 '세겹살'이라고 해야 맞다. 故 김형곤 씨가 유행시켰던 '공포의 오겹살'도 '다섯겹살'이 돼야 한다. 왜 이렇게 비문법적인 표현이 생겼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아마 도축현장에서 무심코 사용하던 말이 대중어로 굳어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참고로 돼지고기의 또 다른 종류인 '갈매기살'은 하늘을 나는 '갈매기'와 전혀 관련이 없다.

어문학자들에 따르면 이는 '가로막살'에 '이'가 붙어 생겨난 말로, '가로마기살'→'가로매기살'→'갈매기살' 순으로 변했다. 갈매기살을 한자로는 '횡격막'으로 적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때의 '횡격'은 '가로 橫'(횡), '흉격 膈'(격) 자다.

소주 안주로 잘 어울리는 '족발'도 어문상 문제가 있는 표현이다. '족발' 할 때의 '족'은 한자 '足'으로 뒷말 '발'과 중첩되고 있다. 이른바 의미중첩으로, '역전앞', '처가집', '초가집'과 같은 현상으로 볼 수 있다.

한자 '前'과 '앞', '家'와 '집'이 중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굳이 바른 표기 여부를 따진다면 '돈족'(豚足)으로 부르는 것이 맞다. '우족'(牛足)이라는 단어가 좋은 예가 된다.

◆ 제육볶음과 돈까스 = '제육볶음'은 돼지고기를 주재료로 고추, 파 등을 넣은 후 이를 볶은 음식을 말한다. 그러나 언뜻보면 어디에도 돼지고기를 의미하는 말을 찾을 수 없다. 그렇지 않다.

'제육볶음' 할 때의 '제육'은 '돼지 猪', '고기 肉' 자를 쓴 '저육'이 변한 말이다. 원래는 '저육볶음'이었으나 언중들이 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육볶음'으로 변했다.'제육'할 때의 '제'에 이른바 '이모음 역행동화' 현상이 일어났다.

'돈까스'는 돼지고기를 얇게 썰어 빵가루에 묻힌 후 이를 기름에 튀긴 음식을 말한다. 그러나 엉터리 일본식 조어인 만큼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돈까스'의 원래 표현은 '포크 커틀렛'(pork cutlet)이다. '커틀렛'은 '얇게 썰었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일본사람들이 이의 발음이 잘 되지 않자 '포크'를 돈(とん), 그리고 '커틀렛'을 '까스레스'로 적었다. 그러나 '돈까스레스'가 길게 느껴지자 이를 다시 '돈까스'로 축약했다. '비후까스'도 같은 경우에 해당한다.

◆ 한자 '家'와 劇 = 많은 사람들이 한자가 생겨난 청동기 시절 '집에서 돼지를 키웠다'는 뜻에서 '家' 자가 생겨난 것으로 알고 있다. 곧바로 제주도 '똥돼지'가 연상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갑골문 학자들에 따르면 고대 중국의 경우 왕이나 귀족에 대해서는 '사당'(廟)를 세워 제사를 모셨다. 그러나 일반 백성은 사당을 세울 수 없어 살던 '집'(갓머리)에 '돼지'(豕)를 잡아놓고 제사를 지냈다. '家' 자는 여기서 생겨난 문자로 가축 돼지와 관련이 없다. '家' 자가 지금도 주로 '서민의 집' 의미로 쓰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연극 할 때의 '劇' 자는 고대 중국의 무대공연과 관련이 있다. 당시 연극에서는 돼지와 호랑이 탈을 쓴 배우들이 자주 등장, 다양한 연기를 했다. 바로 '劇' 자는 무대 위에서 '호랑이'(虎)와 '돼지'(豕)가 '칼싸움'(刀)을 하는 모습이다.


  1. No Image 12May
    by 바람의종
    2009/05/12 by 바람의종
    Views 3229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2.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3230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3. No Image 17Jun
    by 바람의종
    2009/06/17 by 바람의종
    Views 3230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4. No Image 23Jan
    by 바람의종
    2010/01/23 by 바람의종
    Views 323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5. No Image 28Aug
    by 바람의종
    2008/08/28 by 바람의종
    Views 3267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6.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10/01/20 by 바람의종
    Views 327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7. No Image 16Jul
    by 바람의종
    2009/07/16 by 바람의종
    Views 3289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두만강과 조선왕조, 대동강과 한겨레

  8. No Image 06May
    by 바람의종
    2008/05/06 by 바람의종
    Views 3293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9. No Image 25Mar
    by 바람의종
    2008/03/25 by 바람의종
    Views 3294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10. No Image 22Dec
    by 風磬
    2006/12/22 by 風磬
    Views 3296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11. No Image 17May
    by 바람의종
    2009/05/17 by 바람의종
    Views 3296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12. No Image 07Sep
    by 바람의종
    2008/09/07 by 바람의종
    Views 3297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13. No Image 04Apr
    by 바람의종
    2008/04/04 by 바람의종
    Views 3299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14. No Image 07Oct
    by 바람의종
    2009/10/07 by 바람의종
    Views 330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15. No Image 03Jan
    by 風磬
    2007/01/03 by 風磬
    Views 3304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16. No Image 17Apr
    by 바람의종
    2008/04/17 by 바람의종
    Views 3304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17. No Image 08Aug
    by 바람의종
    2008/08/08 by 바람의종
    Views 3304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18. No Image 10May
    by 바람의종
    2008/05/10 by 바람의종
    Views 3305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19. No Image 26Dec
    by 風磬
    2006/12/26 by 風磬
    Views 3306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20.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8/09/06 by 바람의종
    Views 3311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21. No Image 20Dec
    by 風磬
    2006/12/20 by 風磬
    Views 3314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22. No Image 30Dec
    by 風磬
    2006/12/30 by 風磬
    Views 3328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23. No Image 01May
    by 바람의종
    2009/05/01 by 바람의종
    Views 3352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24. No Image 15Feb
    by 바람의종
    2010/02/15 by 바람의종
    Views 3352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25.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3357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