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371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시냇물'의 의미를 모르는 분은  없지만, 그 어원을 아는 분은 그리 많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본래 '시냇물'은 '실'+ '내' +  '물'이 합쳐서 생긴 말입니다. '실'은 '곡(골 곡)'의 뜻입니다. 아직도 고유지명에 '실'이 쓰이고 있습니다. '밤실' 등 무척  많습니다. 결국 골짜기란 뜻입니다.  거기다가 '내'는 '천(내 천)'의 뜻이고요. 그런데 이 '내’도 원래는 '나리'였었습니다. 그런데 모음 사이에서 이런 단어가 또 있지요. '세'(인간 세)를 '누리'라고  하지요. 그런데 오늘날에는 '뉘'로  쓰고 있습니다. 결국 '시냇물'은  '골짜기를 흐르는 냇물'이란 뜻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조선의 소리 보람 바람의종 2009.11.08 3644
95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625
9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금강(錦江), 그 영원한 어머니 바람의종 2009.07.10 3611
93 우리말의 상상력- 3. 밥이 하늘 바람의종 2010.02.12 3604
92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風磬 2006.12.19 3603
91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바람의종 2010.02.15 3591
9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스승은 거룩한 교황 바람의종 2009.10.28 3582
8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임과 해우러름 바람의종 2009.10.27 3575
8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옛 조선의 맥, 춘천 바람의종 2009.11.03 3575
8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낙동강과 가야 바람의종 2009.07.13 3569
86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568
85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567
84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바람의종 2009.05.04 3562
83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2/2) 바람의종 2009.05.26 3558
82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547
81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風磬 2006.12.30 3544
8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말 달리던 선구자 바람의종 2010.01.09 3540
79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538
78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15 3538
77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1/2) 바람의종 2009.05.31 3533
76 우리말의 상상력 1 - 7. 아이와 알 바람의종 2009.05.30 3527
75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518
74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513
73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영산강과 용, 섬진강과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1 3511
72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風磬 2006.12.20 35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