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음식을 먹은 후에 '양이 찼느냐?'고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의 '양'은 '질량'의 '양', 즉 한자어 '양'이 아닙니다. 이 '양'은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양'은 '위장'이라고 할 때의 '위'에 해당하는 우리말입니다. 그래서 쇠고기 중에 '곱창'도 있고, '양'도 있지요. 그래서 '양이 찼느냐?' 하는 것은 '위가 찼느냐?'는 뜻입니다. 즉 '배가 부르냐?'는 뜻이지요. 그리고 '곱창'의 '곱'은 '기름'이란 뜻을 가진 우리말이었습니다. '눈곱'의 '곱'과 같은 것입니다.
   '곱창'은 '곱'+ '창자'의 '창'이랍니다. 기름이 많은 창자이지요. '애'가 '창자'라는 사실 은 이순신 장군의 시조에 '나의 애를 끊나니'에서 배워, 알고 계시겠지요.

  한 가지 더 말씀 드리지요. '폐'는 우리말로 '부아'(옛날에는 '부하')였습니다. 그래서 '부아가 난다.'고 하지요. 화가 나면 숨을 크게 들어 마셔서 '허파'가 크게  불어나지요. 그래서  '부아가 난다'는 '화가 난다'는 뜻이 되었습니다.

  우리 국어에서는 이렇게 신체 부위를 가지고 감정을 표시하는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 몇 예를 들어 볼까요?  머리 아프다. 골치가 아프다. 머리카락이 곤두선다. 귀가 가렵다. 귀가 따갑다. 눈꼴이 시다. 눈물이 날 지경이다. 부아가 난다. 손이 근질근질한다. 애가 탄다. 애간장을 녹인다. 입이 나온다. 핏대가 난다. 이 이외에도 무척 많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45
120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38
119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바람의종 2009.05.25 3831
118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風磬 2006.12.29 3830
117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810
116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804
115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801
»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795
113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794
112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風磬 2006.12.31 3786
111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785
110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785
10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바람의종 2009.10.06 3785
108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779
107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775
106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768
105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바람의종 2009.07.14 3762
104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755
103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737
10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730
101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718
100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712
9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바람의종 2010.01.26 3702
98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700
9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조선의 소리 보람 바람의종 2009.11.08 36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