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음식을 먹은 후에 '양이 찼느냐?'고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의 '양'은 '질량'의 '양', 즉 한자어 '양'이 아닙니다. 이 '양'은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양'은 '위장'이라고 할 때의 '위'에 해당하는 우리말입니다. 그래서 쇠고기 중에 '곱창'도 있고, '양'도 있지요. 그래서 '양이 찼느냐?' 하는 것은 '위가 찼느냐?'는 뜻입니다. 즉 '배가 부르냐?'는 뜻이지요. 그리고 '곱창'의 '곱'은 '기름'이란 뜻을 가진 우리말이었습니다. '눈곱'의 '곱'과 같은 것입니다.
   '곱창'은 '곱'+ '창자'의 '창'이랍니다. 기름이 많은 창자이지요. '애'가 '창자'라는 사실 은 이순신 장군의 시조에 '나의 애를 끊나니'에서 배워, 알고 계시겠지요.

  한 가지 더 말씀 드리지요. '폐'는 우리말로 '부아'(옛날에는 '부하')였습니다. 그래서 '부아가 난다.'고 하지요. 화가 나면 숨을 크게 들어 마셔서 '허파'가 크게  불어나지요. 그래서  '부아가 난다'는 '화가 난다'는 뜻이 되었습니다.

  우리 국어에서는 이렇게 신체 부위를 가지고 감정을 표시하는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 몇 예를 들어 볼까요?  머리 아프다. 골치가 아프다. 머리카락이 곤두선다. 귀가 가렵다. 귀가 따갑다. 눈꼴이 시다. 눈물이 날 지경이다. 부아가 난다. 손이 근질근질한다. 애가 탄다. 애간장을 녹인다. 입이 나온다. 핏대가 난다. 이 이외에도 무척 많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바람의종 2009.05.04 3562
170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164
169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바람의종 2009.07.08 3838
168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2/3) 바람의종 2009.07.07 4022
167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629
166 우리말의 상상력 1 - 11. 고움과 원형(圓形) 바람의종 2009.06.30 4607
165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2/2) 바람의종 2009.06.29 4112
164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308
163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483
162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112
161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300
160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바람의종 2008.04.29 4025
159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744
158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700
157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773
156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440
155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바람의종 2008.09.19 3902
154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568
153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726
152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619
151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485
15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742
149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風磬 2007.01.16 4288
148 애국가 가사 중의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 風磬 2007.01.15 4396
147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3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