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음식을 먹은 후에 '양이 찼느냐?'고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의 '양'은 '질량'의 '양', 즉 한자어 '양'이 아닙니다. 이 '양'은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양'은 '위장'이라고 할 때의 '위'에 해당하는 우리말입니다. 그래서 쇠고기 중에 '곱창'도 있고, '양'도 있지요. 그래서 '양이 찼느냐?' 하는 것은 '위가 찼느냐?'는 뜻입니다. 즉 '배가 부르냐?'는 뜻이지요. 그리고 '곱창'의 '곱'은 '기름'이란 뜻을 가진 우리말이었습니다. '눈곱'의 '곱'과 같은 것입니다.
   '곱창'은 '곱'+ '창자'의 '창'이랍니다. 기름이 많은 창자이지요. '애'가 '창자'라는 사실 은 이순신 장군의 시조에 '나의 애를 끊나니'에서 배워, 알고 계시겠지요.

  한 가지 더 말씀 드리지요. '폐'는 우리말로 '부아'(옛날에는 '부하')였습니다. 그래서 '부아가 난다.'고 하지요. 화가 나면 숨을 크게 들어 마셔서 '허파'가 크게  불어나지요. 그래서  '부아가 난다'는 '화가 난다'는 뜻이 되었습니다.

  우리 국어에서는 이렇게 신체 부위를 가지고 감정을 표시하는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 몇 예를 들어 볼까요?  머리 아프다. 골치가 아프다. 머리카락이 곤두선다. 귀가 가렵다. 귀가 따갑다. 눈꼴이 시다. 눈물이 날 지경이다. 부아가 난다. 손이 근질근질한다. 애가 탄다. 애간장을 녹인다. 입이 나온다. 핏대가 난다. 이 이외에도 무척 많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230
17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742
169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574
168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4179
167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3092
166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3038
165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4036
164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682
16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328
16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670
16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804
160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385
159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3974
158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4254
157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00
156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111
155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바람의종 2008.05.08 3822
154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494
153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240
152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118
151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4180
150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바람의종 2008.05.03 4154
149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바람의종 2008.05.01 4270
148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307
147 우리말 사랑 4 - 신토불이와 토사구팽 바람의종 2008.04.29 40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