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음식을 먹은 후에 '양이 찼느냐?'고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의 '양'은 '질량'의 '양', 즉 한자어 '양'이 아닙니다. 이 '양'은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양'은 '위장'이라고 할 때의 '위'에 해당하는 우리말입니다. 그래서 쇠고기 중에 '곱창'도 있고, '양'도 있지요. 그래서 '양이 찼느냐?' 하는 것은 '위가 찼느냐?'는 뜻입니다. 즉 '배가 부르냐?'는 뜻이지요. 그리고 '곱창'의 '곱'은 '기름'이란 뜻을 가진 우리말이었습니다. '눈곱'의 '곱'과 같은 것입니다.
   '곱창'은 '곱'+ '창자'의 '창'이랍니다. 기름이 많은 창자이지요. '애'가 '창자'라는 사실 은 이순신 장군의 시조에 '나의 애를 끊나니'에서 배워, 알고 계시겠지요.

  한 가지 더 말씀 드리지요. '폐'는 우리말로 '부아'(옛날에는 '부하')였습니다. 그래서 '부아가 난다.'고 하지요. 화가 나면 숨을 크게 들어 마셔서 '허파'가 크게  불어나지요. 그래서  '부아가 난다'는 '화가 난다'는 뜻이 되었습니다.

  우리 국어에서는 이렇게 신체 부위를 가지고 감정을 표시하는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 몇 예를 들어 볼까요?  머리 아프다. 골치가 아프다. 머리카락이 곤두선다. 귀가 가렵다. 귀가 따갑다. 눈꼴이 시다. 눈물이 날 지경이다. 부아가 난다. 손이 근질근질한다. 애가 탄다. 애간장을 녹인다. 입이 나온다. 핏대가 난다. 이 이외에도 무척 많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660
170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667
169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風磬 2006.10.30 3670
168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670
167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바람의종 2009.07.14 3678
166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바람의종 2008.04.27 3679
165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風磬 2006.12.04 3695
164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바람의종 2009.05.15 3699
163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風磬 2006.11.13 3708
162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風磬 2006.12.31 3709
161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711
160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바람의종 2009.05.25 3711
15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바람의종 2009.10.06 3718
158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風磬 2006.12.29 3725
157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바람의종 2008.04.28 3729
156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731
»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風磬 2007.01.01 3735
154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風磬 2007.01.03 3738
153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風磬 2006.10.18 3757
152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바람의종 2008.04.26 3765
15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776
150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776
149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바람의종 2009.07.08 3796
148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798
147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바람의종 2008.05.08 38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