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음식을 먹은 후에 '양이 찼느냐?'고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의 '양'은 '질량'의 '양', 즉 한자어 '양'이 아닙니다. 이 '양'은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양'은 '위장'이라고 할 때의 '위'에 해당하는 우리말입니다. 그래서 쇠고기 중에 '곱창'도 있고, '양'도 있지요. 그래서 '양이 찼느냐?' 하는 것은 '위가 찼느냐?'는 뜻입니다. 즉 '배가 부르냐?'는 뜻이지요. 그리고 '곱창'의 '곱'은 '기름'이란 뜻을 가진 우리말이었습니다. '눈곱'의 '곱'과 같은 것입니다.
   '곱창'은 '곱'+ '창자'의 '창'이랍니다. 기름이 많은 창자이지요. '애'가 '창자'라는 사실 은 이순신 장군의 시조에 '나의 애를 끊나니'에서 배워, 알고 계시겠지요.

  한 가지 더 말씀 드리지요. '폐'는 우리말로 '부아'(옛날에는 '부하')였습니다. 그래서 '부아가 난다.'고 하지요. 화가 나면 숨을 크게 들어 마셔서 '허파'가 크게  불어나지요. 그래서  '부아가 난다'는 '화가 난다'는 뜻이 되었습니다.

  우리 국어에서는 이렇게 신체 부위를 가지고 감정을 표시하는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 몇 예를 들어 볼까요?  머리 아프다. 골치가 아프다. 머리카락이 곤두선다. 귀가 가렵다. 귀가 따갑다. 눈꼴이 시다. 눈물이 날 지경이다. 부아가 난다. 손이 근질근질한다. 애가 탄다. 애간장을 녹인다. 입이 나온다. 핏대가 난다. 이 이외에도 무척 많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No Image 22Jun
    by 바람의종
    2008/06/22 by 바람의종
    Views 3688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2. No Image 02Jun
    by 바람의종
    2008/06/02 by 바람의종
    Views 3699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3. No Image 27Apr
    by 바람의종
    2008/04/27 by 바람의종
    Views 3716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4. No Image 04Dec
    by 風磬
    2006/12/04 by 風磬
    Views 3736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5. No Image 14Jul
    by 바람의종
    2009/07/14 by 바람의종
    Views 3736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6.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08/03/24 by 바람의종
    Views 3741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7. No Image 06Oct
    by 바람의종
    2009/10/06 by 바람의종
    Views 374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8. No Image 30Oct
    by 風磬
    2006/10/30 by 風磬
    Views 3749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9. No Image 13Nov
    by 風磬
    2006/11/13 by 風磬
    Views 3749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10. No Image 27Mar
    by 바람의종
    2008/03/27 by 바람의종
    Views 3749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11. No Image 15May
    by 바람의종
    2009/05/15 by 바람의종
    Views 3757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12. No Image 31Dec
    by 風磬
    2006/12/31 by 風磬
    Views 3758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13. No Image 24Jul
    by 바람의종
    2008/07/24 by 바람의종
    Views 3762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14. No Image 28Apr
    by 바람의종
    2008/04/28 by 바람의종
    Views 3770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15. No Image 03Jan
    by 風磬
    2007/01/03 by 風磬
    Views 3782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16. No Image 01Jan
    by 風磬
    2007/01/01 by 風磬
    Views 3783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17. No Image 25May
    by 바람의종
    2009/05/25 by 바람의종
    Views 3790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18.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08/04/26 by 바람의종
    Views 3793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19. No Image 29Dec
    by 風磬
    2006/12/29 by 風磬
    Views 3808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20.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382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21. No Image 03Apr
    by 바람의종
    2008/04/03 by 바람의종
    Views 3825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22. No Image 18Oct
    by 風磬
    2006/10/18 by 風磬
    Views 3838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3. No Image 27Dec
    by 風磬
    2006/12/27 by 風磬
    Views 3841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24.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8/09/20 by 바람의종
    Views 3846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25. No Image 08May
    by 바람의종
    2008/05/08 by 바람의종
    Views 3849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