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0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오늘날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동일한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즉 marriage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옛날에는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다른 뜻이었습니다. 즉 '혼인하다'는 오늘날 쓰이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였지만, '결혼하다'는 다른 뜻이었습니다.

  '철수가 복동이와 결혼하였다'란 말을 쓸 수 있었습니다. 이 문장의 의미는 '철수'의 자손과 '복동'의 자손이 '혼인'할 것을 결정하였다는 뜻이었습니다. 따라서 남자와 남자, 그리고 여자와 여자끼리 결혼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일본어에서는 '결혼하다'가 오늘날 남녀 혼인의 뜻으로 쓰이고 있는데, 이것이 우리 국어에 들어 온 것입니다. 그래서 예식장에 '결혼예식장'과 '혼인예식장'이란  명칭이 다 보이지요?

  '혼인하다'란 뜻은 '혼'은 '신부집'을 말하고 `인'은 신랑집을 말한 데에 기인합니다. 옛날에 혼인을 할 때에는 신랑이 '혼' 즉 신부집으로 먼저 가서 예식을 올립니다. 즉 '장가'(장인의 집)를 가지요. 그리고 사흘 뒤에 신부를 데리고 '인'(즉 신랑집)으로  옵니다. 즉 신부는 '시집'을 가지요. 그래서 '장가가고 시집간다'는 말이 나온 것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Date2008.06.02 By바람의종 Views3647
    Read More
  2.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Date2008.04.19 By바람의종 Views3660
    Read More
  3.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Date2008.03.24 By바람의종 Views3666
    Read More
  4. 우리말 사랑 2 - 부끄러움이 자랑스러움으로

    Date2008.04.27 By바람의종 Views3668
    Read More
  5. '낮다'의 어간 '낮'에 '-브다'가 붙어 생긴말 --> 나쁘다

    Date2006.10.30 By風磬 Views3670
    Read More
  6.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가장 크고 좋은 강, 한강(韓江)

    Date2009.07.14 By바람의종 Views3675
    Read More
  7. '한 살'의 '살'과 '설날'의 '설'은 어떤 관계일까요?

    Date2006.12.04 By風磬 Views3688
    Read More
  8. 우리말의 상상력 1 - 3. 풀과 목숨 (2/2)

    Date2009.05.15 By바람의종 Views3697
    Read More
  9.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Date2008.03.27 By바람의종 Views3699
    Read More
  1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Date2008.07.24 By바람의종 Views3701
    Read More
  11. '지렁이'란 단어를 분석하면...

    Date2006.11.13 By風磬 Views3705
    Read More
  12. '결혼하다'와 '혼인하다'는 본래 다른 뜻이었습니다

    Date2006.12.31 By風磬 Views3706
    Read More
  13.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1/2)

    Date2009.05.25 By바람의종 Views3711
    Read More
  14.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Date2006.12.29 By風磬 Views3717
    Read More
  1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어머니와 곰신앙

    Date2009.10.06 By바람의종 Views3718
    Read More
  16. 우리말 사랑 3 - 개화와 세계화

    Date2008.04.28 By바람의종 Views3721
    Read More
  17.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Date2007.01.01 By風磬 Views3727
    Read More
  18. '여자무당' -> '임금의 선생님' -> '스승'으로 의미 변화

    Date2007.01.03 By風磬 Views3729
    Read More
  19. 23. '낭떠러지'와 '벼랑'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Date2006.10.18 By風磬 Views3752
    Read More
  20. 우리말 사랑 1 - 손때의 의미

    Date2008.04.26 By바람의종 Views3754
    Read More
  21.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Date2008.09.20 By바람의종 Views3768
    Read More
  22.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769
    Read More
  23.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Date2007.01.22 By바람의종 Views3785
    Read More
  24.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Date2008.04.03 By바람의종 Views3785
    Read More
  25.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3/3)

    Date2009.07.08 By바람의종 Views379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