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46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독'이란 말을 함부로 말씀하지 마셔요.

  여러분! 고독할 때가 많습니까? 그래서 '고독'을 씹는다는 말을 곧잘 하지요?  이 '고독'은 물론 한자말입니다. '외로울 고, 홀로 독'이지요.  그러나 어느 때가 외로울 때고, 어느 때가 홀로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고독한 사람은 부모를 여의고, 짝을 잃은 사람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도 '고아'니 '독신'이니 하는 말을 하지요. 정말로 '고아'와 '독신'을 겸하였다고 생각해 보세요. 그때가 진실로 고독한 때입니다.  그러니 함부로 '고독하다'고 말씀하시지 마십시요. 그리고 고독한 척도 하지 마십시요. 물론 오늘날에는 그 뜻이 바뀌었지만 말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522
195 우리말의 상상력 1 - 7. 아이와 알 바람의종 2009.05.30 3522
194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風磬 2006.12.30 3525
193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1/2) 바람의종 2009.05.31 3531
192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15 3533
191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538
19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말 달리던 선구자 바람의종 2010.01.09 3540
189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2/2) 바람의종 2009.05.26 3542
188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바람의종 2009.05.04 3549
187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556
18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옛 조선의 맥, 춘천 바람의종 2009.11.03 3566
185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567
18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낙동강과 가야 바람의종 2009.07.13 3569
18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임과 해우러름 바람의종 2009.10.27 3575
18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스승은 거룩한 교황 바람의종 2009.10.28 3579
181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바람의종 2010.02.15 3580
180 우리말의 상상력- 3. 밥이 하늘 바람의종 2010.02.12 3587
179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風磬 2006.12.19 3593
17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금강(錦江), 그 영원한 어머니 바람의종 2009.07.10 3611
177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바람의종 2009.07.06 3624
17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조선의 소리 보람 바람의종 2009.11.08 3639
175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645
174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645
173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652
17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바람의종 2010.01.26 36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