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58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우리네 동양 사람들은 천간을 따져서 나이를 무슨 띠로 말하곤 합니다. 사람의 난 해를 지지(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속성으로 상징하여  말하는 것이지요. 지지 중에 '신'자가 붙은 해(예컨대 '갑신'년)에 태어난 사람을 '원숭이띠'라고 하지만, 이것은 요즈음 젊은 사람들이 하는 말이고, 옛날 노인들은 '잔나비 띠'라고하셨습니다.  왜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했을까요?

  우리 말에 옛날에는(17세기까지도) '원숭이'라는 단어가 없었습니다. 18세기에 와서 한자어인 '원성이'(원숭이 원, 원숭이 성)가 생겨났고 '성'의 음이 '승'으로 변하여('어'가'으'로 발음되는 경우는 많지요. '어른'도 '으른'이라고 하지 않나요?)  '원승이'가  되고 이것이 또 변하여서 오늘날'원숭이'가 된 것입니다.

  원숭이의 고유어는 '납'이었습니다. 그래서 원숭이를  뜻하는 한자 '원'의 새김도 '납 원'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에 '재다'(동작이 날쌔고 재빠르다)의 형용사형 '잰'이 붙어서 '잰나비'가 되고 이것이 음운변화를 겪어서 '잔나비'가 된 것입니다. 원숭이가 재빠르긴 재빠르지요(여기의 '재빠르다'도 '재다'와 '빠르다'가 합쳐진 말이군요).  아직도 방언에서는 원숭이를 '잰나비'라고도 하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No Image 14Dec
    by 바람의종
    2009/12/14 by 바람의종
    Views 3545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치악의 말미암음

  2.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8/09/06 by 바람의종
    Views 3544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3.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3544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2/2)

  4. No Image 04Apr
    by 바람의종
    2008/04/04 by 바람의종
    Views 3541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5. No Image 01Sep
    by 바람의종
    2009/09/01 by 바람의종
    Views 3531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영산강과 용, 섬진강과 두꺼비

  6. No Image 08Aug
    by 바람의종
    2008/08/08 by 바람의종
    Views 3530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7. No Image 26Dec
    by 風磬
    2006/12/26 by 風磬
    Views 3527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8. No Image 03Jan
    by 風磬
    2007/01/03 by 風磬
    Views 3524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9. No Image 01May
    by 바람의종
    2009/05/01 by 바람의종
    Views 3516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10. No Image 28Aug
    by 바람의종
    2008/08/28 by 바람의종
    Views 3503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11. No Image 07Oct
    by 바람의종
    2009/10/07 by 바람의종
    Views 350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12. No Image 17May
    by 바람의종
    2009/05/17 by 바람의종
    Views 3498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13. No Image 07Sep
    by 바람의종
    2008/09/07 by 바람의종
    Views 3482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14. No Image 22Dec
    by 風磬
    2006/12/22 by 風磬
    Views 3478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15. No Image 29Jul
    by 바람의종
    2008/07/29 by 바람의종
    Views 3472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16. No Image 17Apr
    by 바람의종
    2008/04/17 by 바람의종
    Views 3471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17. No Image 23Jan
    by 바람의종
    2010/01/23 by 바람의종
    Views 345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18. No Image 16Jun
    by 바람의종
    2009/06/16 by 바람의종
    Views 3457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19. No Image 12May
    by 바람의종
    2009/05/12 by 바람의종
    Views 3456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20. No Image 09May
    by 바람의종
    2009/05/09 by 바람의종
    Views 3454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21.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10/01/20 by 바람의종
    Views 343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22. No Image 16Jul
    by 바람의종
    2009/07/16 by 바람의종
    Views 3432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두만강과 조선왕조, 대동강과 한겨레

  23. No Image 12Jun
    by 바람의종
    2009/06/12 by 바람의종
    Views 3424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24. No Image 21Sep
    by 바람의종
    2009/09/21 by 바람의종
    Views 342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백마강, 강릉

  25. No Image 23May
    by 바람의종
    2008/05/23 by 바람의종
    Views 3423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