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70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요즈음이야 참 좋은 세상이지요. 수도꼭지만 틀면 물이 쏟아져 나오니까요. 옛날에야  어디 그런 일을  상상이나 할 수 있었나요? 모두 동네 우물에 가서 물을 동이에 이고 오거나 할 수 밖에 없었으니까요. 더군다나 남자가 물을 길어 오는 것은 금물이어서 여자분들이 꽤나 고생을 했었습니다.

  '우물'은 어떻게 생겨난 말일까요? '우물'의 '물'은 알겠는데, '우'가 무슨 뜻인지 모르시겠지요? 그런데 그것은 '우'가 아니라 '움'입니다. 그러니까 '움물'이 '우물'이 된 것입니다. '움'에서 나오는 '물'이란 뜻입니다. 지금도 '우물'을 '움물'이라고 하는 방언도 있습니다.  지금도 '움'이란 말은 많이 쓰이는 단어입니다. '움'을 파고 김치독을 묻거나, 움에다가 천으로 가려 집을 만들면 '움막집'이 됩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284
195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622
194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245
19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4177
192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4056
191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358
190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425
189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958
188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바람의종 2008.09.19 4099
187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362
186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478
185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373
184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585
183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624
182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478
181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495
180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513
179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565
178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4137
177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637
176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4064
175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5060
174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912
173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570
172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3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