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668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미역국을 먹는다'는 말은 요즈음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고 미끄러져서 떨어진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원래는 미역국은 애기를 낳은 산모가 먹는 것이 아닌가요? 그런데 이 말이 어떻게 해서 시험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 사용되었을까요? 많은 사람들은 미역국의 미역이 미끌미끌하니까, 그렇게 사용된다고 믿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어름도 있을텐데,  하필이면 미역국을 비유의 대상으로 삼았을까요?

  아직까지 이 말의 원래뜻은 분명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설이 있습니다. '미역국을 먹는다'는  말은 원래 취직자리에서 떨어졌을 때를 속되게 일컫는 말이었습니다.  이 말도 유래가 있습니다. 일본제국주의자들이 우리나라를 강점하면서, 우리나라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켰을 때, 그 '해산'이란 말이 아이를 낳는다는 '해산'과 말소리가 같아서, 해산할 때에 미역국을 먹는 풍속과 관련하여 이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미역국을 먹었다'는 말은 '해산' 당했다는 말의 은어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래서 취직자리가 떨어진 것과 시험에 떨어진 것과 같아서 '미역국을 먹었다'는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이 설은 아직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아니니, 다른 의견이  있으신 분은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말 달리던 선구자

    Date2010.01.09 By바람의종 Views3654
    Read More
  2.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Date2006.12.30 By風磬 Views3661
    Read More
  3.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Date2006.12.15 By風磬 Views3668
    Read More
  4.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Date2006.12.20 By風磬 Views3678
    Read More
  5.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Date2008.03.28 By바람의종 Views3681
    Read More
  6. 우리말의 상상력 1 - 5. 물의 순환 (2/2)

    Date2009.05.26 By바람의종 Views3684
    Read More
  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임과 해우러름

    Date2009.10.27 By바람의종 Views3688
    Read More
  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금강(錦江), 그 영원한 어머니

    Date2009.07.10 By바람의종 Views3691
    Read More
  9.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1/2)

    Date2009.05.31 By바람의종 Views3695
    Read More
  10.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Date2006.10.19 By風磬 Views3706
    Read More
  11.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Date2008.07.21 By바람의종 Views3706
    Read More
  12. '우물'은 '움물'에서 나온 말. 곧 '움'에서 나오는 '물'

    Date2006.12.19 By風磬 Views3713
    Read More
  13.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Date2009.05.04 By바람의종 Views3720
    Read More
  1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옛 조선의 맥, 춘천

    Date2009.11.03 By바람의종 Views3723
    Read More
  15.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Date2007.01.24 By바람의종 Views3728
    Read More
  16.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Date2008.04.21 By바람의종 Views3732
    Read More
  1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스승은 거룩한 교황

    Date2009.10.28 By바람의종 Views3735
    Read More
  18.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Date2010.02.15 By바람의종 Views3735
    Read More
  19.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낙동강과 가야

    Date2009.07.13 By바람의종 Views3736
    Read More
  20.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3748
    Read More
  2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조선의 소리 보람

    Date2009.11.08 By바람의종 Views3769
    Read More
  22.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달홀(達忽)과 가라홀(加羅忽)의 어우름

    Date2010.01.26 By바람의종 Views3774
    Read More
  23. 우리말의 상상력 1 - 12. 울림과 진실 (1/3)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3776
    Read More
  24. 우리말의 상상력- 3. 밥이 하늘

    Date2010.02.12 By바람의종 Views3780
    Read More
  25.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Date2007.01.17 By風磬 Views378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