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감기'는 옛날에 '고뿔'이라고 불렀습니다.  곧 '코에 불(열)이 난다는 뜻

  요즈음 감기에 잘 걸리지요. 저도 지난번 중국 연길시에서 있었던 우리말 컴퓨터 처리 국제학술대회에서 북한과 회담을 하면서, 그만 감기에 걸려 아직까지도 기침은 계속 나고 있습니다. 중국의 독감에 걸린 것이지요.  지금은 감기라고 하지만, 옛날에는 모두 '고뿔'이라고 했습니다. 이'고뿔'은 마치'코'에 '뿔'이 난 것처럼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실제로 이것은 '코'에 '불'이 난 것입니다. 즉 '코'에 열이 난다는 뜻이지요.  이전엔 '곳블'이었습니다. 즉 '코'를 뜻하던 옛날말인'고'에 '불'(되었던 것인데, 원순모음화가 되어 '곳불'이 되고 다시 '뒤의 '불'이 된소리로 되어(마치 '냇가'가 실제 발음으로는 '내까'가 되듯이) '고뿔'이 된 것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 한자어인 '감기'가 이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는데, 이 '감기'란 한자말은 '복덕방' '사돈', '사촌' 등처럼 우리나라에서  만든 한자어입니다. 혹시 일본어에서 온 것은 아닌가 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어에서는 감기를 '풍사(바람풍 사악할 사)'라고 하니깐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바람의종 2010.01.20 3452
22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바람의종 2010.01.23 3458
219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474
218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475
217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476
21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485
215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486
214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493
213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504
212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바람의종 2009.05.17 3504
211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508
21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바람의종 2009.10.07 3511
209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527
20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영산강과 용, 섬진강과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1 3533
207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536
206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542
205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546
204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48
20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치악의 말미암음 바람의종 2009.12.14 3548
202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51
201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2/2) 바람의종 2009.05.20 3555
200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560
19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말 달리던 선구자 바람의종 2010.01.09 3564
198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569
197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15 35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