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양말'의 ‘말’은 한자의 '버선 말'자...여기에 '서양 양'이 붙은 것입니다.

  여러분이 신고 다니는 '양말'이 한자에서 온 말이라고 하면 깜짝 놀라시겠지요.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한자어입니다. 원래 버선을 한자로 '말'이라고 했습니다. '버선 말'자이지요. 그런데 서양에서 이 버선과 비슷한 것이 들어 오니까 버선을 뜻하는 '말'에 '양' 자를 붙여서 '양말'이라고 했습니다.  버선하고 양말이 이렇게 해서 달라졌던 것입니다.  이렇게 서양에서 들어 왔다고 해서 '양' 자를 붙이거나 '서양'을 붙여 만든 단어들이 꽤나 있습니다. 그 예가 무척 많음에 놀라실 것입니다.  그래서 이제는 그 뜻도 잘 모르게 변한 것들도 많습니다.  몇 가지를 예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양철'(또는 '생철')
  양철도 '철'에 '양'  자가 붙어서 된  말입니다. 쇠는 쇠인데, 원래 우리가 쓰던  쇠와는 다른 것이 들어 오니까 '철'에 '양'자만 붙인 것이지요. 더 재미있는  것은 이 '철'에 '서양'이 붙어서 '서양철'이 되고, 이것이 다시 변화되어서 오늘날에는 그냥 '생철'이라고도 하는 것입니다.

  2. 양동이
  국어에 '동이'라고 하는 것은 물긷는 데 쓰이는 질그릇의 하나인데, 서양에서 비슷한 것이 들어 오니까 여기에 '양'자를 붙여 '양동이'라는 단어를  만든 것입니다.

  3. 양순대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는 말인데, 서양에서 '소시지'가 들어 오니까 '순대'에다가 '양'자를 붙여 '양순대'라고 했는데, 이것을 쓰지 않고 '소시지'라고 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되살려 쓰고 싶은 단어입니다. 중국의 우리 동포는  이  '소시지'를 '고기순대'라고 하더군요. 너무 잘 지은 이름이 아닌가요?

  4. 양은
  양은은 '구리, 아연, 니켈을 합금하여 만든 쇠'인데, 그색깔이 '은'과 유사하니까 '은'에 '양'자를 붙여 '양은'이라고 한 것입니다.

  5. 양재기
 '양재기'는 원래 '서양 도자기'라는 뜻입니다. 즉 '자기'에 '양'자가 붙어서 '양자기'가  된 것인데, 여기에 '아비'를 '애비'라고 하듯 '이' 모음 역행동화가 이루어져 '양재기'가 된 것입니다.

  6. 양회
  이 말도 앞의 '양순대'와 같이 거의 쓰이지 않는 말입니다만, 제가 어렸을 때만 해도 '세멘트'를 '양회'라고 했습니다.  '회'는 회인데 서양에서 들여 온 회라는 뜻이지요. 이 말도 다시 썼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7. 양행
  이 말도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는 말이지요. 서양에 다닌다는 뜻으로 '다닐 행'자를 붙인 것인데,  이것이 무역회사를  말하는 것입니다. 오늘날 '유한양행'이라는 회사가 그렇게 해서 생긴 것이지요.

  이 이외에 '양'자가 붙어서 만든 단어들을 몇 가지 더 들어 보겠습니다. 양복, 양장, 양궁, 양단, 양담배, 양란, 양배추, 양버들, 양식, 양옥, 양장, 양잿물, 양주, 양초, 양코, 양파, 양화점 등.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바람의종 2008.04.25 4006
120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341
119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310
118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336
11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577
116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851
115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4021
114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710
113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460
112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377
111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935
110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564
109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749
108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326
107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268
106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329
105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428
104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362
103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215
102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787
101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400
100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526
99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296
98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418
97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5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